삼국지를 떠올릴 때 우리 머릿속에 가장 먼저 그려지는 인물 중 하나는 단연 관우일 것입니다. 대추처럼 붉은 얼굴, 위풍당당하게 긴 수염, 그리고 그를 상징하는 거대한 무기 청룡언월도. 이 모든 요소가 합쳐져 의리와 용맹의 화신이라는 그의 이미지를 완성합니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알고 있는 관우의 상징적인 모습이 사실은 역사가 아닌, 잘 짜인 소설 속 창작물이라면 어떨까요?
놀랍게도 역사 기록 속 관우는 우리가 아는 이미지와는 사뭇 다릅니다. 그의 붉은 얼굴이나 청룡언월도에 대한 언급은 역사서인 정사 <삼국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는 모두 명나라 시대의 소설 <삼국지연의>가 만들어낸 극적인 장치입니다. 이 글에서는 소설이 덧씌운 신화의 껍질을 벗겨내고, 인간 관우의 진짜 모습과 함께 왜 소설가 나관중은 그에게 이토록 강렬한 이미지를 부여해야만 했는지 그 이유를 깊이 파고들어 가고자 합니다.
역사 기록 속 관우: 신화 이전의 모습
청룡언월도의 시대적 모순
관우의 상징과도 같은 무기, 청룡언월도(靑龍偃月刀). 소설 속에서는 82근(약 49kg)에 달하는 무게로 묘사되며, 이를 자유자재로 휘두르는 관우의 모습은 그를 초인적인 용장으로 각인시킵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볼 때, 관우가 청룡언월도를 사용했을 가능성은 전혀 없습니다. 언월도와 같은 형태의 무기는 관우가 살았던 후한 말(2~3세기)이 아닌, 약 800년이 지난 송나라(10~13세기) 시대에 등장했기 때문입니다.
당시의 기술로는 그토록 크고 무거운 냉병기를 제작하기도 어려웠을뿐더러, 실제 전투에서 사용하기에도 매우 비효율적이었습니다. 삼국시대의 장수들은 주로 창(矛)이나 칼(刀), 극(戟)과 같은 보다 실용적인 무기를 사용했습니다. 역사 기록 속 관우가 어떤 무기를 주로 사용했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지만, 안량을 벨 때의 정황을 보면 말을 타고 빠르게 적진을 돌파해 적장을 베는 데 용이한 창이나 극 종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즉, 청룡언월도는 후대의 창작물이 관우라는 인물에게 소급 적용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붉은 얼굴과 9척 장신, 만들어진 외모
그의 외모 역시 소설적 상상력의 산물입니다. <삼국지연의>는 관우를 키가 9척(약 207cm)에 달하고, 대추처럼 붉은 얼굴과 2척(약 46cm) 길이의 수염을 가진 인물로 묘사합니다. 이는 독자에게 시각적으로 매우 강렬한 인상을 남기며 그의 비범함을 암시합니다. 그러나 정사 <삼국지>에는 이러한 묘사가 전혀 등장하지 않습니다.
역사서에 남은 관우의 외모에 대한 유일한 단서는 제갈량이 그를 ‘미염공(美髯公)’, 즉 ‘아름다운 수염을 가진 분’이라고 칭했다는 기록뿐입니다. 이는 그가 멋진 수염을 가졌다는 사실을 알려주지만, 그 길이, 모양, 색깔 등에 대해서는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습니다. 붉은 얼굴에 대한 기록은 전무하며, 이는 후대의 연극이나 민담에서 그의 충의를 상징하기 위해 부여된 색깔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결국 우리가 아는 관우의 외모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그의 성품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상징적인 이미지인 것입니다.
소설가의 의도: 왜 관우는 신화가 되어야 했나?
상징성을 통한 캐릭터 강화
그렇다면 소설가 나관중은 왜 역사적 사실과 다른 이미지를 관우에게 부여했을까요? 그 이유는 <삼국지연의>가 단순한 역사 기록이 아닌, 재미와 교훈을 목적으로 하는 ‘소설’이기 때문입니다. 나관중은 관우라는 인물이 가진 ‘충의’와 ‘용맹’이라는 핵심적인 성품을 독자들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징적인 장치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
붉은 얼굴은 중국 전통극에서 충성스럽고 정의로운 인물을 상징하는 색입니다. 나관중은 관우에게 붉은 얼굴을 부여함으로써, 독자들이 그의 외모만 보고도 그의 성품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이는 교활함을 상징하는 흰 얼굴의 조조와 극명한 대비를 이루며 소설의 선악 구도를 더욱 명확하게 합니다. 이는 현대의 슈퍼히어로 영화에서 캐릭터의 코스튬 색깔이 그의 성격을 암시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청룡언월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청룡’은 동쪽을 수호하는 신성한 상상의 동물로, 그 이름만으로도 무기에 신비롭고 강력한 기운을 불어넣습니다. 아무나 다룰 수 없는 거대하고 무거운 무기는 관우의 초인적인 무용을 시각적으로 증명하는 장치가 됩니다. 이러한 설정들은 역사적 사실 여부를 떠나, 관우를 단순한 인간 장수에서 벗어나 독자들의 뇌리에 깊이 각인되는 신화적 영웅으로 격상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서사의 극적 효과 극대화
<삼국지연의>는 유비를 중심으로 한 촉한 정통론에 입각하여 서사를 전개합니다. 상대적으로 열세였던 유비 세력이 조조의 거대한 위나라에 맞서는 과정을 극적으로 그리기 위해서는, 유비 진영의 인물들을 비범하고 강력하게 묘사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관우의 신격화는 이러한 서사적 필요성과 정확히 맞닿아 있습니다.
소설은 관우에게 안량, 문추와 같은 위나라의 맹장들을 단칼에 베는 신화적인 활약을 부여합니다. 이러한 장면들은 청룡언월도라는 상징적인 무기와 결합되어 독자들에게 엄청난 카타르시스를 선사합니다. 역사적 사실로는 관우가 안량을 벤 것은 맞지만, 문추를 벤 기록은 없습니다. 소설은 극적인 재미를 위해 역사적 사실을 각색하고, 그 중심에 관우라는 강력한 캐릭터를 내세웠습니다. 이는 마치 현대의 블록버스터 영화가 주인공의 능력을 과장하여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처럼 관우의 비범한 이미지는 소설 전체의 재미와 감동을 책임지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야기의 힘: 인간을 넘어 신이 된 관우
소설에서 종교로, 이미지의 확산
<삼국지연의>가 만들어낸 관우의 강렬한 이미지는 소설의 영역을 넘어 민간 신앙과 종교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소설이 대중에게 널리 읽히면서, 관우는 충의와 용맹, 재물을 상징하는 인물로 백성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았습니다. 그의 이야기는 사람들에게 현실의 고난을 이겨낼 용기와 믿음을 주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그를 신으로 숭배하는 문화로 이어졌습니다.
결국 관우는 역사상 실존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도교와 불교, 그리고 민간 신앙에서 모두 신적인 존재로 추앙받게 됩니다. 그는 전쟁의 신(무신, 武神)이자 재물의 신(재신, 財神)으로 모셔지며, 수많은 사당에서 그의 조각상과 그림이 모셔졌습니다. 이때 묘사되는 관우의 모습은 어김없이 붉은 얼굴에 긴 수염을 하고 청룡언월도를 든, 바로 <삼국지연의> 속의 그 모습입니다. 이는 소설적 상상력이 역사적 사실을 넘어 한 인물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어떻게 완벽하게 지배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극적인 사례입니다.
현대에 살아 숨 쉬는 관우의 신화
관우에 대한 숭배는 과거의 유산으로만 머물지 않고 오늘날까지도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많은 중국 상점이나 가정에서는 재복을 기원하며 관우의 상을 모시고, 홍콩의 경찰서는 의리와 정의를 상징하는 의미에서 그를 모시기도 합니다. 이는 단순한 미신을 넘어, 관우라는 인물이 상징하는 ‘신뢰’와 ‘의리’라는 가치가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모든 현상의 시작점에는 바로 소설 <삼국지연의>가 있습니다. 만약 나관중이 관우를 역사 기록 그대로의 평범한 장수로 묘사했다면, 과연 그가 시대를 넘어 이토록 많은 사람의 존경과 사랑을 받는 신화적인 인물이 될 수 있었을까요? 아마도 어려웠을 것입니다. 결국 우리가 오늘날 기억하고 숭배하는 관우는 역사 속 인간 관우라기보다는, 소설이 창조해낸 위대한 영웅의 이미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역사가 이야기가 되고, 이야기가 다시 역사가 되는 문화의 역동적인 과정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지점입니다. 관우의 붉은 얼굴과 청룡언월도는 바로 그 위대한 이야기의 힘을 증명하는 가장 강력한 상징인 셈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