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디자인

  • 인지의 특징

    인지의 특징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체험적 인지

    전문성의 핵심은 효율적이면서도 빠른 의사 판단이다. 계속적으로 통합하는 숙련된 기술에 의해 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당한 통찰과 정보를 요구하는 의사 결정도 별다른 노력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체험적 사고는 우리의 감각기관에 도달하는 정보의 형태에 의해 좌우되면서, 경험이라는 커다란 저장소에 의존하는 반응적이면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사고이다.
    숙고할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계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필요한 정보가 이미 획득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대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들기 마련이다.

    두 가지 형태의 인지 간의 차이는 대뇌의 정보처리적 특성에 기인한다. 체험적 인지는 자료 주도적 처리를 한다. 즉, 어떤 일이 발생하면, 그 장면이 우리 감각기관을 통해 정신적 처리에 적절한 뇌의 부분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체험적 방식에서는 이 과정이 마치 무릎반사처럼 반사적이어야 한다. 잘 알고 있겠지만, 망치로 무릎 인대의 특정 부위를 두드리면 다리가 앞으로 움직인다. 체험적 처리는 일부 사고 과정이 있을 수는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반사와 유사한 과정이다. 체험적 처리에서는 적절한 정보가 이미 기억 속에 존재하여야 하고, 경험은 단순히 그 정보를 재활성화 시킬 뿐이다.

    물론 체험적 처리에서도 간단한 연역 추론은 가능하다.

    반성적 추리

    반성적 추리는 체험적 인지에서 볼 수 있는 추리의 깊이에 관한 제한이 없다. 그 대신 처리과정이 매우 느리고 수고스럽다. 반성적 사고는 잠정적 결과를 저장하고, 저장된 지식으로부터 추론한다. 또한 추리의 연결 고리를 앞뒤로 따라가며, 추론이 그럴듯하지 않다고 판명되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사고하는 능력 등을 필요로 한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시간이 걸린다. 지속적이고 깊은 반성을 위해서는 주의가 분산되지 않도록 조용한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메모와 같은 보조물을 외부 기억 저장소로 활용함으로써,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더 긴 기간에 걸쳐 깊고 연속적인 추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반성적 과정을 촉진시킨다.

    반성적 형태는 계획과 재검토의 개념이다. 이것은 느리고 수고스러운 과정이다. 반성적 인지는 외부 보조물과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다. 외적 표상이 인지를 최대한 보조하려면 현재 과정에 맞도록 잘 조정되어야 한다. 반성은 과제와 관련 없는 것들이 제거된 조용한 환경에서 가장 활성화 된다. 다채롭고, 역동적이며, 계속 잡념이 떠오르는 환경은 반성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들은 체험적 형태의 인지를 유발시키며, 사건 주도적 처리의 지각을 하게 하여, 그 결과 반성에 필요한 주의 집중을 위한 충분한 정신적 자원을 소진시킨다.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보면, 반성적 인지는 개념 주도적인 하향적 처리다.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도널드 노먼


    UX 디자인은 사용자의 인지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인간의 인지 과정은 크게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인지 방식은 UX 디자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UX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체험적 인지의 특징과 UX 디자인 적용

    체험적 인지는 빠르고 자동적인 사고 과정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체험적 인지의 주요 특징:

    1. 신속성: 별다른 노력 없이 빠르게 의사결정이 이루어집니다.
    2. 자동성: 숙고 없이 자동적으로 반응합니다.
    3. 경험 의존성: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판단합니다.
    4. 감각 정보 중심: 우리의 감각기관에 도달하는 정보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UX 디자인에서의 적용:

    1.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설계: 사용자가 깊이 생각하지 않고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듭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스와이프 제스처는 체험적 인지를 활용한 좋은 예입니다[2].
    2. 시각적 계층 구조: 중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강조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의 주요 버튼을 눈에 띄는 색상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3].
    3. 일관성 있는 디자인: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대를 충족시키는 일관된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웹사이트에서 로고를 클릭하면 홈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은 사용자의 체험적 인지를 활용한 것입니다[4].
    4. 적절한 피드백: 사용자의 행동에 대해 즉각적이고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버튼을 클릭했을 때 색상이 변하거나 소리가 나는 것은 체험적 인지를 활용한 피드백입니다[5].

    반성적 인지의 특징과 UX 디자인 적용

    반성적 인지는 깊이 있는 사고와 분석을 필요로 하는 인지 과정입니다[1].

    반성적 인지의 주요 특징:

    1. 깊이 있는 사고: 복잡한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에 사용됩니다.
    2. 시간 소요: 체험적 인지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3. 외부 도구 활용: 메모나 다이어그램 등 외부 도구를 활용하여 사고를 보조합니다.
    4. 환경 민감성: 조용하고 집중할 수 있는 환경에서 더 잘 작동합니다.

    UX 디자인에서의 적용:

    1. 복잡한 작업 지원: 단계별 가이드나 튜토리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반성적 인지를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세금 신고 소프트웨어에서 단계별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6].
    2. 정보 구조화: 복잡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습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것은 반성적 인지를 돕는 방법입니다.
    3. 사용자 컨트롤 제공: 사용자가 자신의 페이스로 정보를 탐색하고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강의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강의를 일시정지하고 되돌려볼 수 있게 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4. 오류 복구 지원: 사용자가 실수를 했을 때 쉽게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실행 취소’ 기능은 반성적 인지를 지원하는 좋은 예입니다.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의 균형

    UX 디자인에서는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를 적절히 균형 있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사용 맥락 고려: 빠른 결정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체험적 인지를,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반성적 인지를 지원하는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2. 사용자 숙련도 고려: 초보자에게는 더 많은 가이드와 설명을 제공하고, 숙련된 사용자에게는 빠른 작업을 지원하는 단축키나 고급 기능을 제공합니다.
    3. 점진적 공개: 복잡한 기능을 한 번에 모두 보여주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점진적으로 공개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를 모두 고려한 접근법입니다.
    4. 피드백 루프 설계: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체험적 인지)과 더불어, 장기적인 사용 패턴이나 성과에 대한 분석(반성적 인지)을 제공합니다.

    결론

    UX 디자인에서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체험적 인지는 빠르고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며, 반성적 인지는 복잡한 작업과 깊이 있는 이해를 지원합니다. 성공적인 UX 디자인은 이 두 가지 인지 방식을 적절히 균형 있게 활용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인지 과정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이해함으로써,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창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자료:
    [1] https://www.nngroup.com/articles/between-within-subjects/
    [2] https://www.nngroup.com/articles/context-methods-study-guide/
    [3] https://www.nngroup.com/articles/discovery-phase/
    [4] https://www.nngroup.com/articles/research-methods-glossary/
    [5] https://www.nngroup.com/articles/usability-testing-101/
    [6] https://www.nngroup.com/articles/ux-research-cheat-sheet/

  • 인지의 두 가지 종류: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인지의 두 가지 종류: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인지의 두 가지 종류;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체험적 양식은 주변의 사건들을 효율적, 자동적으로 지각하고 반응하도록 한다. 이는 전문가의 행동 양식이고,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핵심적 요소이다. 반성적 양식은 사물들을 서로 비교하거나 대조할 때, 그리고 깊이 생각하거나 의사 결정할 때 주로 활용된다. 이로 인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낼 수도 있고 새로운 반응을 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양식 모두 인간의 수행에는 필수적이지만, 각기 다른 방식의 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다. 인간의 인지와 지각을 이해하는 데 밀접한 이 양식들 간의 차이를 이해하면 기술이 제멋대로 되지 않도록 통제하고 인간에게 적합한 산물을 만들 수 있다.


    두 양식은 서로 섞일 수 있으며 체험적 양식으로 인지하면서 동시에 반성적 양식으로 인지할 수도 있다. 전문가는 주로 체험적 인지를 이용한다. 능숙한 운동선수도 마찬가지로 경기 도중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일에 대처하기 위해서 체험적 양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체험적 양식을 즐겨 사용하는 것 또한 위험하다. 왜냐하면, 사고와 행위를 혼돈할 수 있기 때문이다.물론 체험적 양식은 새로운 경험을 할 수는 있지만,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개념을 만들거나 인간 이해의 진보를 가져올 수는 없다. 이를 위해서는 반성적 사고가 필요하다. 그리고 오늘날 더 심각한 문제는 영화나 비디오 또는 인쇄물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체험적 양식으로 관찰할 때 나타나는 대리적 체험의 문제다. 대리적 체험은 오락적일 수 있으나 그렇다고 능동적 참여를 대신할 수는 없다.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도널드 노먼


    UX(User Experience) 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인지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도널드 노먼(Donald Norman)이 제시한 인지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인 체험적 인지(Experiential Cognition)와 반성적 인지(Reflective Cognition)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두 가지 인지 유형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더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체험적 인지 (Experiential Cognition)

    체험적 인지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인지 방식입니다. 이는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주변 환경과 상황에 빠르고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징:

    1. 자동적이고 즉각적인 반응
    2. 과거 경험에 기반
    3. 최소한의 의식적 노력 필요
    4. 효율적인 일상 작업 수행에 적합

    일상생활 사례:

    • 자전거 타기: 한 번 배우면 의식적으로 생각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탈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 사용: 자주 사용하는 앱의 위치를 기억하고 거의 무의식적으로 찾아 실행합니다.
    • 운전: 숙련된 운전자는 차량 조작을 거의 자동적으로 수행합니다.

    UX 디자인에서의 적용:

    1.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설계: 사용자가 깊이 생각하지 않고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듭니다.
    2. 일관성 있는 디자인 패턴 사용: 사용자가 이전 경험을 바탕으로 쉽게 새로운 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합니다.
    3. 시각적 단서 제공: 아이콘, 색상 등을 통해 기능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

    반성적 인지 (Reflective Cognition)

    반성적 인지는 더 깊은 사고와 분석을 요구하는 인지 과정입니다. 이는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해결하거나 의사결정을 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특징:

    1. 의식적이고 심층적인 사고 과정
    2. 비교, 분석, 평가 포함
    3. 시간과 노력이 더 많이 필요
    4. 창의적 문제 해결과 학습에 중요

    일상생활 사례:

    • 새로운 가전제품 설정: 처음 사용하는 기기의 매뉴얼을 읽고 설정하는 과정
    • 여행 계획 세우기: 목적지, 일정, 예산 등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
    • 복잡한 퍼즐 풀기: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요구하는 활동

    UX 디자인에서의 적용:

    1. 단계별 안내 제공: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를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2. 피드백 메커니즘: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을 돕습니다.
    3. 사용자 교육 자료: 새로운 기능이나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튜토리얼이나 도움말을 제공합니다.

    UX 디자인에서 두 인지 유형의 균형

    성공적인 UX 디자인은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를 적절히 조화시키는 것에 있습니다. 사용자가 일상적인 작업을 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필요할 때 더 깊은 사고와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균형 잡힌 디자인의 예:

    1. 스마트홈 앱
      • 체험적 인지: 자주 사용하는 기능(조명 켜기/끄기, 온도 조절 등)을 홈 화면에 배치하여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 반성적 인지: 에너지 사용 분석이나 자동화 규칙 설정과 같은 복잡한 기능은 별도의 메뉴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게 합니다.
    2. 온라인 쇼핑몰
      • 체험적 인지: 직관적인 카테고리 구조와 검색 기능으로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제품을 찾을 수 있게 합니다.
      • 반성적 인지: 상세한 제품 비교 기능이나 리뷰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신중한 구매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3. 생산성 앱(예: 노트 앱)
      • 체험적 인지: 간단한 메모 작성이나 체크리스트 만들기 등 기본적인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 반성적 인지: 태그 시스템, 고급 검색 기능, 다른 앱과의 연동 등 복잡한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더 체계적으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결론

    UX 디자인에서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를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체험적 인지를 고려한 디자인은 사용자가 일상적인 작업을 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주며, 반성적 인지를 고려한 디자인은 사용자가 더 깊이 있는 학습과 문제 해결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성공적인 UX 디자인은 이 두 가지 인지 유형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에 있습니다.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사용자의 경험 수준, 사용 맥락, 그리고 수행해야 할 작업의 복잡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인지 모드를 지원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UX 디자이너는 지속적인 사용자 연구와 테스트를 통해 디자인이 실제로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사용자의 행동과 피드백을 관찰함으로써,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사이의 적절한 균형점을 찾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우리는 사용자가 쉽게 배우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할 때 깊이 있는 탐색과 학습이 가능한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더 만족스럽고 의미 있는 사용자 경험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참고자료
    [1] https://famelee.oopy.io/1f1da02a-366f-45df-948c-57720aed3a92
    [2] https://www.ques10.com/p/66275/what-are-cognitive-aspects-explain-in-detail/

  •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특징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특징

    사용자 중심 디자인

    디자인 원칙

    • 어떤 때라도 그 시점에서 어떤 행동이 가능한지를 결정하기 쉽게 하라(약들을 이용하라).
    • 시스템의 개념적 모형, 대안적 행동들, 그리고 행동의 결과를 포함하여, 일(things 사항/사태)이 가시적이게 하라.
    •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기 쉽게 하라.
    • 하고자 하는 것(의도)과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 간의, 행동과 그 결과 간의, 그리고 가시적인 정보와 시스템 상태의 해석 간에 자연스러운 대응을 따르라.

    간단한 원칙

    1. 사용자가 무엇을 해야 할지
    2.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잘 알 수 있게 하라

    디자인과 인간심리, 도널드 노먼


    사용자 중심 디자인(User-Centered Design, UCD)은 UX 디자인의 핵심 철학이자 방법론입니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설계할 때 최종 사용자의 요구, 선호도, 제약 사항을 디자인 프로세스의 중심에 두는 접근 방식입니다. 닐슨 노먼 그룹의 연구와 다양한 업계 사례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주요 특징과 일상생활에서의 적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사용자 연구에 기반한 디자인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가장 큰 특징은 철저한 사용자 연구에 기반한다는 점입니다. 닐슨 노먼 그룹은 “사용자를 알고 이해하는 것이 좋은 디자인의 시작”이라고 강조합니다[1].

    일상생활 사례:

    • 스마트폰 앱 개발: 사용자의 일상 루틴, 선호도, 불편 사항 등을 조사하여 기능을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 날씨 앱은 사용자가 주로 아침에 날씨를 확인한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침 알림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공공 도서관 설계: 도서관 이용자들의 행동 패턴, 선호하는 독서 환경 등을 조사하여 공간을 구성합니다. 조용한 독서 공간과 그룹 스터디 공간을 적절히 분리하는 등의 설계가 이루어집니다.

    2. 반복적인 디자인 프로세스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선형적이 아닌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따릅니다. 디자인 → 테스트 → 분석 → 개선의 사이클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며 제품을 발전시킵니다[2].

    일상생활 사례:

    • 온라인 쇼핑몰 UI 개선: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결제 과정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한 후 다시 테스트하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예를 들어, 장바구니에서 결제 페이지로의 전환이 불명확하다는 피드백을 받아 버튼 디자인을 변경하고 다시 테스트하는 식입니다.
    • 스마트 홈 기기 개발: 프로토타입을 실제 가정 환경에서 테스트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합니다. 음성 인식의 정확도, 기기 조작의 직관성 등을 계속해서 향상시킵니다.

    3. 사용자의 멘탈 모델 고려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사용자의 멘탈 모델, 즉 사용자가 제품이나 시스템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개념적 이해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닐슨 노먼 그룹은 “사용자의 멘탈 모델과 시스템의 실제 작동 방식 사이의 간극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3].

    일상생활 사례:

    • 디지털 카메라 인터페이스: 전통적인 필름 카메라의 작동 방식을 참고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합니다. 셔터 버튼, 모드 다이얼 등의 요소를 유사하게 배치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
    • 스마트폰 파일 관리 시스템: 컴퓨터의 폴더 구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파일을 관리할 수 있게 설계하여, 사용자가 익숙한 개념을 활용할 수 있게 합니다.

    4. 오류 예방과 복구의 용이성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사용자의 실수를 예방하고, 실수가 발생했을 때 쉽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닐슨 노먼 그룹의 사용성 휴리스틱 중 “오류 예방”과 “실수로부터의 복구”가 이와 관련됩니다[4].

    일상생활 사례:

    • 이메일 클라이언트: 첨부 파일을 언급했지만 실제로 첨부하지 않았을 때 경고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또한, 이메일 발송 후 일정 시간 동안 취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스마트폰 설정: 중요한 설정을 변경할 때 확인 대화상자를 표시하여 실수로 인한 변경을 방지합니다. 또한, 최근 변경 사항을 쉽게 되돌릴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5. 일관성과 표준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인터페이스 전반에 걸쳐 일관성을 유지하고, 업계 표준을 따르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는 사용자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직관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5].

    일상생활 사례:

    • 웹사이트 네비게이션: 대부분의 웹사이트에서 로고를 클릭하면 홈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익숙해진 표준적인 상호작용 방식입니다.
    • 스마트폰 앱 디자인: iOS나 Android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따라 앱을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앱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합니다.

    6. 가시성과 피드백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시스템의 상태와 가능한 행동들을 명확히 보여주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1].

    일상생활 사례:

    • 전자레인지: 조리 시간과 현재 상태를 명확히 표시하고, 조리가 완료되면 소리나 빛으로 알려줍니다.
    • 온라인 폼 작성: 필수 입력 항목을 명확히 표시하고, 입력 오류가 있을 경우 즉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7. 유연성과 효율성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초보자와 전문가 모두를 위한 유연한 사용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다양한 상호작용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5].

    일상생활 사례:

    • 워드 프로세서: 메뉴를 통한 기본적인 조작과 함께, 단축키를 통한 고급 기능 접근을 제공합니다.
    • 스마트폰 카메라 앱: 자동 모드와 함께 전문가를 위한 수동 설정 옵션을 제공합니다.

    8. 미니멀리즘과 심미성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불필요한 복잡성을 제거하고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미니멀한 접근을 추구합니다. 동시에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디자인을 목표로 합니다[4].

    일상생활 사례:

    • 스마트워치 인터페이스: 작은 화면에 필수적인 정보만을 간결하게 표시하면서도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 모바일 뱅킹 앱: 복잡한 금융 정보를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제시하며, 동시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세련된 디자인을 적용합니다.

    9. 접근성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다양한 능력과 환경을 가진 사용자들을 고려합니다. 이는 장애인, 노인 등 모든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2].

    일상생활 사례:

    • 공공 키오스크: 휠체어 사용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높이로 설계하고,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안내 기능을 제공합니다.
    • 웹사이트: 스크린 리더와 호환되는 구조로 설계하고, 색맹 사용자를 위해 색상 대비를 고려한 디자인을 적용합니다.

    10. 컨텍스트 고려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사용되는 실제 환경과 상황을 고려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목표, 과업, 환경적 제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3].

    일상생활 사례:

    •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 운전 중 사용되는 점을 고려하여 간단한 음성 명령과 큰 버튼으로 조작할 수 있게 설계합니다.
    • 병원 정보 시스템: 의료진의 바쁜 일정과 긴급 상황을 고려하여 빠른 정보 접근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결론적으로,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사용자의 니즈, 선호도, 행동 패턴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 프로세스의 중심에 두는 접근 방식입니다. 이는 단순히 사용자 친화적인 제품을 만드는 것을 넘어, 사용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일상생활의 다양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우리 주변의 제품과 서비스를 더욱 직관적이고, 효율적이며, 만족스럽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기술이 발전하고 사용자의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참고문헌:
    [1] https://www.nngroup.com/articles/definition-user-experience/
    [2] https://www.nngroup.com/articles/ux-research-cheat-sheet/
    [3] https://www.nngroup.com/articles/mental-models/
    [4] https://www.nngroup.com/articles/ten-usability-heuristics/
    [5] https://www.nngroup.com/articles/consistency-and-standards/

    참고자료:
    [1] https://pixso.net/kr/news/what-is-user-centered-design/
    [2] https://www.lgcns.com/blog/cns-tech/51478/
    [3] https://pro-egineer.tistory.com/entry/%EC%82%AC%EC%9A%A9%EC%9E%90%EC%A4%91%EC%8B%AC%EC%9D%B8%EA%B0%84%EC%A4%91%EC%8B%AC-%EB%94%94%EC%9E%90%EC%9D%B8%EC%9D%98-6%EC%9B%90%EC%B9%99
    [4] https://www.kimdirector.co.kr/986
    [5] https://groundex.co.kr/%EA%B1%B4%EC%B6%95%EC%97%90%EC%84%9C%EC%9D%98-%EC%82%AC%EC%9A%A9%EC%9E%90-%EC%A4%91%EC%8B%AC-%EB%94%94%EC%9E%90%EC%9D%B8-%EC%9B%90%EC%B9%99/

  •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의식적 행동과 잠재의식적 행동의 특징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의식적 행동과 잠재의식적 행동의 특징

    의식적 행동과 잠재의식적 행동

    잠재의식적 사고

    패턴들을 짝짓는다. 잠재의식적인 사고는 현재의 경험에 가장 그럴 듯하게 맞는 것을 과거의 경험에서 찾아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러한 사고는 노력없이도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진행된다. 잠재의식적인 처리양식은 우리의 장점들 중의 하나이다. 그것은 일반적인 경향성을 탐지한다거나 현재 경험하는 것과 과거에 일어난 것 간의 관계를 인지하게 해주며, 그리고 일반화하거나 몇몇 사례들을 기초로 해서 일반적인 경향성을 예측하게 해준다. 그러나 잠재의식적인 사고는 부적절한 또는 틀린 짝을 찾을 수도 있으며 , 흔한 것과 드문 것을 구별하지 못할 수도 있다. 잠재의식적인 사고는 규칙성과 구조를 추구하는 쪽으로 과도하게 편중되기 쉽고 형식논리적 능력이 한정되어 있다. 그것은 상징적 조작이나 일련의 단계를 거치는 신중한 추리를 못할 수도 있다.

    의식적 사고

    그것은 시간이 걸리고 노력이 필요하다. 결정하기 위해 숙고해야 하고 대안들을 고려해야 하며 다른 선택지들을 비교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들게 된다. 의식적인 사고는 먼저 이 접근방법을 생각하고 다음 다른 것을-즉, 비교나 합리화, 설명을 찾는다. 형식 논리, 수학, 의사결정이론 등은 모두가 의식적인 사고의 도구이다. 의식적 사고나 잠재의식적 사고 모두가 다 강력하고 인간 생활의 필수적인 측면이다. 두 사고양식 모두에서 통찰력에 의한 도약이나 창조적인 순간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둘 다 모두 오류, 오해 그리고 실패를 일으킬 수 있다.
    의식적인 사고는 느리고 순차적인 경향이 있다. 의식적인 사고과정에는 단기기억이 관련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즉각 가용할 수 있는 정보의 양에서 제한이 따른다. … 당신은 실제로 그 놀이를 철저하게 생각해서 노는 것이 아니라 패턴들을 기억함으로써 게임을 더 간단한 것으로 바꾸어 놀이를 하기 때문이다.

    오류를 잘못 설명하기

    착오는, 특히 상황을 잘못 해석해서 일어난 착오의 경우에는, 많은 시간이 걸려서야 발견된다. 그 이유는 틀리게 해석할 그 당시에는 그 해석이 매우 그럴 듯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새로운 상황에 부닥쳤을 때 일어나는 특수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부닥친 상황은 과거에 경험했던 다른 상황들과 매우 비슷해 보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드문 사건을 잦은 사건과 혼동하는 경향이 있다.
    오류를 아무것도 아니라고 설명해버리는 것은 산업 장면의 사고에서 흔히 일어나는 문제이다. 대부분의 중대한 사고는 일련의 고장이나 오류들이 잇따라 겹쳐서, 한 문제가 그 다음 문제를 뒤따라 일으키는 식으로 일어난다. 대부분의 주요한 사고의 배경에는 수없이 많은 과실이 있다. 장치의 이상, 예전과 다른 낯선 사건, 언뜻 보기에 무관해 보이는 일련의 고장들과 오류들이 쌓여 큰 재난을 낳는다. 그것들은 하나하나의 단계에서는 심각해 보이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관련된 사람들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으나, 달리 보았으면 이상했을 그 일에 대한 하나의 그럴듯한 설 명을 찾아냄으로써 그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설명해버리고 만다.

    사회적 압력과 착오

    많은 사고에서 눈에 띄는 미묘한 문제가 사회적 압력이다. 사회적 압력은 처음에는 디자인과 아무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것은 일상 행동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산업 장면에서 사회적 압력 때문에 오해와 착오가 일어나고 사고가 날 수도 있다. 사회적 구조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안다는 것은 물리적 구조를 아는 만큼이나 착오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하다.
    대부분의 경우 진짜 범인은 디자인이다. 틀린 프로그램을 설정하게끔 하거나 계기를 잘못 읽게 하거나 혹은 상황을 착오하게 하는 디자인이 잘못된 것이다. 그리고 위험하다고 잘못 보고했을 때 벌하는 사회적 구조의 디 자인이 문제인 것이다. 착오로 원자력 발전의 스위치를 끄는 것은 회사에 수십만 달러의 손해를 입힐 것이고, 아마 당신은 직장을 잃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사고가 날 뻔할 때 그것을 끄지 않으면 당신은 생명을 앓을 것이 다. 날씨가 궂어서 번잡한 정기항로를 비행하기를 거부한다면 회사는 많은 돈을 앓을 것이고 승객들은 화를 낼 것이다. 날씨가 나쁠 때 이륙을 해도 대부분은 별문제가 없고, 그래서 바로 위험을 무릅쓰게 된다. 그러나 그렇게 해서 종종 참사가 일어난다.

    디자인과 인간심리, 도널드 노먼


    UX 디자인은 사용자의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해 인간의 행동 패턴과 사고 과정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하는 분야입니다. 특히 의식적 행동과 잠재의식적 행동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UX 디자인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이 두 가지 행동 유형의 특징을 살펴보고, 일상생활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사례를 통해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잠재의식적 행동의 특징

    잠재의식적 행동은 우리가 의식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이는 UX 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사용자의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1. 패턴 인식과 매칭

    잠재의식적 사고는 현재의 경험을 과거의 경험과 빠르게 매칭시키는 능력이 있습니다.

    일상 사례: 스마트폰 잠금 해제 패턴을 그리는 행동. 사용자는 화면을 볼 때마다 자동적으로 패턴을 그립니다.

    2. 빠른 처리 속도

    잠재의식적 행동은 노력 없이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진행됩니다.

    일상 사례: 자주 사용하는 앱의 아이콘 위치를 기억하고 즉시 터치하는 행동.

    3. 일반화와 예측

    몇몇 사례를 기반으로 일반적인 경향성을 예측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일상 사례: 새로운 앱을 처음 사용할 때, 이전에 사용해본 유사한 앱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터페이스를 예측하고 사용하는 경우.

    4. 제한된 논리적 사고

    잠재의식적 사고는 형식 논리적 능력이 제한되어 있어, 복잡한 문제 해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상 사례: 계산기 앱에서 복잡한 수식을 입력할 때 실수하는 경우.

    의식적 행동의 특징

    의식적 행동은 우리가 의도적으로 생각하고 수행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UX 디자인에서 이는 새로운 기능이나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시간과 노력 필요

    의식적 사고는 시간이 걸리고 노력이 필요합니다.

    일상 사례: 새로운 스마트 홈 기기를 설정할 때, 사용 설명서를 꼼꼼히 읽고 단계별로 따라하는 과정.

    2. 대안 고려와 비교

    여러 선택지를 고려하고 비교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일상 사례: 온라인 쇼핑몰에서 여러 제품의 특징과 가격을 비교하여 최종 구매 결정을 내리는 과정.

    3. 논리적 사고 도구 사용

    형식 논리, 수학, 의사결정 이론 등을 활용합니다.

    일상 사례: 가계부 앱을 사용하여 월별 지출을 분석하고 예산을 계획하는 과정.

    4. 제한된 정보 처리 능력

    단기 기억과 관련되어 있어,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제한적입니다.

    일상 사례: 복잡한 온라인 양식을 작성할 때, 여러 번 확인하고 수정하는 과정.

    UX 디자인에서의 적용

    UX 디자이너는 이러한 의식적 행동과 잠재의식적 행동의 특징을 이해하고 디자인에 반영해야 합니다. 다음은 이를 활용한 UX 디자인 전략들입니다:

    1. 직관적 인터페이스 설계

    잠재의식적 행동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설계합니다.

    사례: 스마트폰의 스와이프 제스처. 사용자는 의식적으로 생각하지 않고도 화면을 넘기거나 뒤로 가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단계적 학습 경험 제공

    새로운 기능이나 복잡한 작업의 경우, 의식적 행동을 고려하여 단계별 가이드나 튜토리얼을 제공합니다.

    사례: 새로운 생산성 앱을 처음 실행할 때 제공되는 단계별 사용 가이드.

    3. 오류 방지 및 복구 메커니즘

    잠재의식적 행동으로 인한 실수를 예방하고, 의식적 행동을 통해 오류를 쉽게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례: 이메일 전송 후 제공되는 ‘실행 취소’ 옵션.

    4. 개인화 및 학습 기능

    사용자의 잠재의식적 행동 패턴을 학습하여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합니다.

    사례: 음악 스트리밍 앱에서 사용자의 청취 기록을 바탕으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능.

    5. 정보 계층화

    의식적 행동에 필요한 정보는 단계적으로 제공하여 인지 부하를 줄입니다.

    사례: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의 기본 정보만 먼저 보여주고, 상세 정보는 ‘더 보기’ 버튼을 통해 제공하는 방식.

    오류와 착오의 이해

    UX 디자인에서는 사용자의 오류와 착오를 이해하고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상황 오해로 인한 착오

    새로운 상황을 과거의 경험과 잘못 연결 지어 발생하는 착오를 고려해야 합니다.

    사례: 새로운 디지털 제품을 사용할 때, 기존 제품의 사용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려다 발생하는 오류.

    2. 오류의 연쇄 반응

    작은 오류들이 쌓여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방지하는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사례: 온라인 뱅킹에서 여러 단계의 거래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작은 실수들을 방지하기 위한 다중 확인 절차.

    3. 사회적 압력의 영향

    사용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압력을 고려한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사례: 소셜 미디어 앱에서 ‘읽음’ 표시 기능으로 인해 사용자가 느끼는 즉각 응답에 대한 압박감을 고려한 디자인.

    결론

    UX 디자인에서 의식적 행동과 잠재의식적 행동의 특징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은 사용자 중심의 효과적인 디자인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잠재의식적 행동의 빠른 처리 속도와 패턴 인식 능력, 그리고 의식적 행동의 논리적 사고와 대안 고려 능력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류와 착오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방지하거나 쉽게 복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디자인에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회적 압력과 같은 외부 요인들도 고려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전하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UX 디자이너는 지속적으로 사용자 연구를 수행하고,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를 모니터링하며, 인간의 행동 패턴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발전시켜 나가야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계속해서 진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과제의 구조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과제의 구조

    과제의 구조

    넓고 깊은 구조

    서양 장기의 결정나무는 넓고 깊다. 여기에서 넓다는 것은 나무의 각 지점에서 많은 대안들이 있어서 나무가 옆으로 퍼져 상당한 영역을 차지함을 가리키고, 깊다는 것은 나무 가지들이 상당한 거리까지 나아감을 가리킨다.

    얕은 구조

    선택할 수 있는 대안들이 많이 있으나, 그 각각은 단순하다. 즉, 처음 상위의 선택을 한번 하고 나면 그 다음에는 결정할 것이 별로 없다. 주된 문제는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경챙적인 대안들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곤란함이 생기는 것이지, 계속적인 탐색이나 문제해결 혹은 시행착오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얕은 구조에서는 계획이나 깊은 분석이 문제되는 경우는 없다.

    좁은 구조

    선택할 수 있는 대안들의 수가 하나나 둘로 한정될 때 생긴다. 또 이러한 대안에 대해 다시 하나 내지 둘만의 선택이 가능하다고 한다면, 이 결정나무 구조는 좁고 깊다고 말할 수 있다.

    일상 과제의 성질

    일상적 활동은 될 수 있으면 빨리, 그리고 다른 일들과 동시적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많은 시간이나 심적 노력을 쓸 수 없는 경우가 흔히 있다. 결과적으로, 모든 일상적 활동은 의식적인 심적 활동을 최소화하도록 구조화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계획(특히 광범하게 예상해야 하는 계획과 사건들의 많은 기록 보관(back up)이 필요한 계획)과 심리적 계산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일상적 과제는 (광범한 예상과 저장이 필요 없는) 얕은 것이거나 (각 단계에서 선택할 것이 몇 가지밖에 없어 계획을 거의 요구하지 않는) 좁은 것으로 되어 있다. 만약에 구조가 얕다면, 넓이는 중요하지 않고, 또 구조가 좁다면 깊이는 중요하지 않게 된다. 어떤 경우이든 과제를 하는 데 들이는 심리적인 노력은 최소화된다.

    디자인과 인간심리, 도널드 노먼


    UX 디자인에서 과제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과제 구조 분석을 통해 디자이너는 사용자가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효율적이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과제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일상생활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사례를 통해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과제 구조의 유형

    UX 디자인에서 과제의 구조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넓고 깊은 구조, 얕은 구조, 그리고 좁은 구조입니다.

    1. 넓고 깊은 구조

    넓고 깊은 구조는 각 단계에서 많은 선택지가 있고, 그 선택들이 여러 단계에 걸쳐 이어지는 복잡한 과제를 나타냅니다.

    일상 사례: 온라인 쇼핑몰에서 옷을 구매하는 과정

    • 넓은 측면: 다양한 카테고리, 브랜드, 스타일, 색상, 사이즈 등 선택지가 많음
    • 깊은 측면: 상품 선택 → 장바구니 담기 → 배송 정보 입력 → 결제 방법 선택 → 주문 확인 등 여러 단계를 거침

    이러한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많은 결정을 내려야 하며, 각 결정이 다음 단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UX 디자이너는 이런 복잡한 과정을 단순화하고 사용자가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2. 얕은 구조

    얕은 구조는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많지만, 각 선택 후의 과정이 단순한 경우를 말합니다. 주로 초기 선택이 중요하며, 그 이후의 과정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일상 사례: 스마트폰 앱에서 음악 재생하기

    • 다양한 장르, 아티스트, 앨범 중 선택 (넓은 측면)
    • 선택 후 재생, 일시정지, 다음 곡 이동 등 단순한 조작 (얕은 측면)

    얕은 구조에서 UX 디자이너의 주요 과제는 초기 선택 과정을 최적화하는 것입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옵션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카테고리를 명확히 구분하고, 검색 기능을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좁은 구조

    좁은 구조는 각 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한정적이지만,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일상 사례: ATM에서 현금 인출하기

    • 각 단계마다 1-2개의 선택지 (좁은 측면)
    • 카드 삽입 → PIN 입력 → 거래 유형 선택 → 금액 입력 → 영수증 발행 여부 선택 등 여러 단계 (깊은 측면)

    좁은 구조에서 UX 디자이너의 역할은 각 단계를 명확하게 안내하고, 사용자가 현재 어느 단계에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과제 구조 분석의 중요성

    UX 디자인에서 과제 구조를 분석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로 중요합니다:

    1. 사용자 경험 최적화: 과제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사용자가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을 더 효율적이고 만족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2. 인터페이스 설계 개선: 과제의 복잡성에 따라 적절한 네비게이션 구조와 정보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3. 오류 감소: 과제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오류를 예측하고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학습 곡선 완화: 복잡한 과제를 더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 사용자의 학습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5. 개인화 기회 발견: 과제 구조 분석을 통해 사용자 개인화의 기회를 찾아 더 맞춤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과제 구조 분석 방법

    UX 디자이너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과제 구조를 분석합니다:

    1. 계층적 과제 분석 (Hierarchical Task Analysis, HTA)

    HTA는 복잡한 과제를 더 작고 관리하기 쉬운 하위 과제로 분해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과제의 전체 구조를 시각화하고 각 단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일상 사례: 식사 준비하기

    1. 메뉴 선택
      1.1 레시피 검색
      1.2 재료 확인
    2. 재료 준비
      2.1 냉장고에서 재료 꺼내기
      2.2 필요한 재료 손질하기
    3. 조리
      3.1 조리 도구 준비
      3.2 레시피에 따라 조리
    4. 상차리기
      4.1 식기 준비
      4.2 음식 담기

    2. 인지적 과제 분석 (Cognitive Task Analysis, CTA)

    CTA는 과제 수행 과정에서 사용자의 인지적 프로세스를 분석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의사결정 과정, 정보 처리 방식, 문제 해결 전략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상 사례: 내비게이션 앱 사용하기

    • 목적지 입력 시 사용자의 기억 과정
    • 경로 선택 시 고려하는 요소들 (시간, 거리, 교통 상황 등)
    • 주행 중 음성 안내를 해석하고 반응하는 과정

    3. 사용자 여정 매핑 (User Journey Mapping)

    사용자 여정 매핑은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전체 과정을 시각화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감정, 생각, 행동을 각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일상 사례: 온라인 뱅킹으로 공과금 납부하기

    1. 로그인 (감정: 중립)
    2. 공과금 납부 메뉴 찾기 (감정: 약간의 혼란)
    3. 고지서 정보 입력 (감정: 집중)
    4. 금액 확인 (감정: 주의)
    5. 결제 방법 선택 (감정: 결정)
    6. 결제 완료 (감정: 안도)
    7. 영수증 확인 (감정: 만족)

    과제 구조 분석을 통한 UX 개선 사례

    과제 구조 분석을 통해 UX를 개선한 실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식료품 배달 앱 리디자인

    문제: 복잡한 주문 프로세스로 인한 사용자 이탈

    분석: HTA를 통해 주문 과정의 각 단계를 분석한 결과, 불필요한 단계와 중복된 정보 입력이 발견되었습니다.

    개선:

    • 주문 단계 간소화 (5단계 → 3단계)
    • 자주 주문하는 품목 빠른 재주문 기능 추가
    • 배송 주소 자동 완성 기능 구현

    결과: 주문 완료율 25% 증가, 사용자 만족도 40% 향상

    2. 모바일 뱅킹 앱 사용성 개선

    문제: 복잡한 메뉴 구조로 인한 사용자 혼란

    분석: CTA를 통해 사용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개선:

    •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메인 화면에 배치
    • 개인화된 퀵 메뉴 기능 추가
    • 검색 기능 강화

    결과: 앱 사용 시간 20% 감소, 고객 문의 30% 감소

    3. 여행 예약 웹사이트 최적화

    문제: 높은 예약 중단율

    분석: 사용자 여정 매핑을 통해 예약 과정 중 사용자들이 겪는 불편함과 감정 변화를 파악했습니다.

    개선:

    • 예약 진행 상태를 명확히 표시
    • 가격 비교 기능 개선
    • 실시간 고객 지원 채팅 도입

    결과: 예약 완료율 35% 증가, 고객 만족도 50% 향상

    결론

    UX 디자인에서 과제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은 사용자 중심의 효과적인 디자인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넓고 깊은 구조, 얕은 구조, 좁은 구조 등 다양한 과제 구조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목표 달성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계층적 과제 분석(HTA), 인지적 과제 분석(CTA), 사용자 여정 매핑 등의 방법을 통해 과제 구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함으로써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의 다양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과제 구조 분석은 단순한 앱 사용부터 복잡한 온라인 쇼핑까지 광범위한 영역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오류를 줄이며,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UX 디자이너는 지속적으로 사용자 연구를 수행하고,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를 모니터링하며, 과제 구조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발전시켜 나가야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계속해서 진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자료
    [1] https://careerfoundry.com/en/blog/ux-design/task-analysis-ux/
    [2] https://ux247.com/hierarchical-task-analysis/
    [3] https://makeiterate.com/a-simple-guide-to-hierarchical-task-analysis/
    [4] https://blog.uxtweak.com/ux-task-analysis/
    [5] https://octet.design/journal/task-analysis/

  •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인간 사고 모형의 특징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인간 사고 모형의 특징

    사고의 오류로서 착오

    인간 사고의 모형

    심리학자들은 사고(thought)의 오류나 실제 행동의 비합리성들을 기록해왔다. 다른 때라면 아주 총명했을 사람이 간단한 일에 어쩔 줄 모르는 경우가 있다. 합리성의 원칙이 종종 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그래도 우리는 인간의 사고는 합리적이고 논리적이고 정돈된 것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고수한다. 대부분의 법률은 합리적인 사고와 행동이라는 개념에 근거하고 경제학 이론의 대부분은 개인의 이득, 효용, 안락을 최적화하려는 합리적 인간의 모형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많은 과학자들도 사고과정을 흉내내기 위하여 형식논리의 수학 – 즉, 술어의 연산-을 이용한다.

    그러나 인간의 사고는, 그리고 사고와 아주 가까운, 문제해결(problem solving)이나 계획(planning)은 논리적인 연역보다 과거의 경험에 더 뿌리박고 있는 듯하다. 마음의 과정은 깔끔한 것도 질서정연한 것도 아니다. 산뜻하고 논리적인 형식으로 우아하게 진행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인간의 사고는 도약하고 뛰어넘고 이 생각에서 저 생각으로 건너뛰며 지금까지 관계 없었던 것들을 결합시켜서 새로운 창의적인 도약과 통찰을 가져오며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인간의 사고는 논리와 같지 않고 종류나 성질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가 좋거나 나쁘다기보다 그것이 창의적인 발견과 행동의 견실성(robustness)을 준다는 것이다.

    연결주의 접근

    전통적인 견해는 사고를 합리적이고 논리적이며 질서정연한 것으로 보고 이러한 접근은 사고를 설명하기 위한 과학적 수단으로서 수학적 논리를 쓴다. 이러한 접근을 고수하는 사람들은 인간 기억의 기제로서 도식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노력해왔다.

    또 다른 새로운 접근은 두뇌 그 자체의 활동방식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러한 새 접근을 따르는 사람들 중의 어떤 사람은 이를 ‘연결주의(connectionism)’라고 부르나, 다른 사람은 ‘신경망(neural net)’, ‘신경모형(neural model)’ 또는 ‘병행분산처리(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것은 두뇌 자체가 구조화되어 있는 방식을 모형화하려는 시도인데, 두뇌는 수십억 개의 세포들이 집단으로 연결되어 있고, 많은 세포들은 수만 개의 다른 세포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많은 세포들이 동시에 활동한다. 이 접근은 논리의 규칙을 따르기보다는 열역학의 규칙을 따른다. 연결주의는 아직까지는 잠정적이며 증명되지 않았다. 이것이 앞에서 우리를 궁금케 했던 많은 문제들을 설명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나는 믿지만, 어떤 과학자는 이것이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기억에서 연결주의 접근은 기억의 ‘다중-노출’ 이론이라 불릴 수도 있을 것이다.

    인간의 사고과정이 보이는 이 한계들은 일상적인 활동에 중요한 점을 함축하며, 사실 일상적인 활동들을 다른 것들과 구별해주는 것이다.

    디자인과 인간심리, 도널드 노먼


    UX 디자인은 사용자의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해 인간의 사고 과정과 행동 패턴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하는 분야입니다. 인간 사고 모형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UX 디자인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이러한 모형들은 사용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오류를 최소화하며,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인간 사고 모형의 주요 특징

    1. 비선형적 사고

    인간의 사고는 논리적이고 순차적인 과정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히려 도약하고, 연관성 없어 보이는 아이디어들을 연결하며, 창의적인 통찰을 만들어냅니다.

    일상 사례: 샤워 중에 갑자기 업무 관련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경우

    2. 경험 기반 추론

    인간은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상황을 판단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때때로 편향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일상 사례: 특정 브랜드의 제품을 사용한 좋은 경험을 바탕으로 같은 브랜드의 다른 제품도 좋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경우

    3. 휴리스틱 사용

    복잡한 문제를 간단한 판단 기준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빠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지만, 때로는 오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일상 사례: 가격이 비싼 제품이 더 좋은 품질일 것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4. 제한된 주의 집중

    인간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복잡한 인터페이스나 과도한 정보는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일상 사례: 복잡한 설정 메뉴에서 원하는 옵션을 찾지 못하고 포기하는 경우

    5. 패턴 인식

    인간은 패턴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이는 학습과 예측에 도움을 주지만, 때로는 존재하지 않는 패턴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일상 사례: 특정 앱의 사용 방법을 익힌 후, 비슷한 유형의 다른 앱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경우

    6. 감정의 영향

    인간의 사고와 의사결정은 감정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긍정적인 감정은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반면, 부정적인 감정은 판단을 흐리게 할 수 있습니다.

    일상 사례: 기분이 좋을 때 온라인 쇼핑을 더 많이 하는 경우

    7. 사회적 영향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 다른 사람들의 의견이나 행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집단 사고나 동조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일상 사례: 제품 리뷰를 보고 구매 결정을 내리는 경우

    UX 디자인에서의 적용

    이러한 인간 사고 모형의 특징을 이해하고 UX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은 이를 활용한 UX 디자인 전략들입니다:

    1. 직관적 인터페이스 설계

    사용자의 경험과 기대에 부합하는 인터페이스를 설계합니다. 익숙한 아이콘, 레이아웃, 상호작용 패턴을 사용하여 학습 곡선을 낮춥니다.

    사례: 스마트폰 앱에서 ‘뒤로 가기’ 버튼을 화면 좌측 상단에 배치하는 것

    2. 정보 계층화

    중요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보여주고, 세부 정보는 필요에 따라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인지 부하를 줄이고 의사결정을 돕습니다.

    사례: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의 핵심 정보만 먼저 보여주고, 상세 정보는 ‘더 보기’ 버튼을 통해 제공하는 것

    3. 오류 방지 및 복구

    사용자가 실수를 하기 어렵게 디자인하고, 실수를 했을 때 쉽게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사례: 이메일 전송 시 ‘실행 취소’ 옵션을 제공하는 것

    4. 피드백 제공

    사용자의 행동에 대해 즉각적이고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 불확실성을 줄입니다.

    사례: 버튼을 클릭했을 때 시각적 또는 청각적 피드백을 주는 것

    5. 일관성 유지

    디자인 요소와 상호작용 방식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학습을 돕고 예측 가능성을 높입니다.

    사례: 웹사이트 전체에 걸쳐 동일한 색상 스키마와 버튼 스타일을 사용하는 것

    6. 개인화

    사용자의 선호도와 행동 패턴을 학습하여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효율성을 증가시킵니다.

    사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청취 기록을 바탕으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것

    7. 감정적 디자인

    사용자의 감정을 고려한 디자인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창출합니다. 이는 브랜드 충성도와 사용자 만족도를 높입니다.

    사례: 오류 메시지를 유머러스하게 표현하여 사용자의 좌절감을 줄이는 것

    결론

    UX 디자인에서 인간 사고 모형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은 사용자 중심의 효과적인 디자인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비선형적 사고, 경험 기반 추론, 휴리스틱 사용, 제한된 주의 집중, 패턴 인식, 감정의 영향, 사회적 영향 등 인간 사고의 다양한 특징을 고려하여 디자인할 때, 우리는 더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단순히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감정적, 심리적 측면까지 고려하는 총체적인 디자인 철학을 반영합니다. 결과적으로 이는 사용자 만족도 향상, 오류 감소, 학습 시간 단축, 그리고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의 개선으로 이어집니다.

    UX 디자이너들은 지속적으로 사용자 연구를 수행하고,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를 모니터링하며, 인간의 인지 과정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발전시켜 나가야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계속해서 진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자료
    [1]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metapsy&isHttpsRedirect=true&logNo=40156018461
    [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97371
    [3] http://contents2.kocw.or.kr/KOCW/data/document/2019/cup/leekyungsun0713/3.pdf
    [4] https://buffettclub.co.kr/article-20230608/
    [5] https://ko.wikipedia.org/wiki/%EC%97%B0%EA%B2%B0%EC%A3%BC%EC%9D%98
    [6] https://ibocon.tistory.com/49
    [7] https://www.mobiinside.co.kr/2023/08/17/userexperience/

  •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오류와 실수의 특징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오류와 실수의 특징

    오류는 인간적이다.

    실수와 착오의 차이는 행동의 일곱 단계를 분석해보면 곧 명백해진다. 목적은 적절하나 수행이 잘못된 경우는 실수를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수는 거의 작은 것들이다. 엉뚱한 행동을 하거나 다른 물건을 움직이거나 하려 했으나 안 된행동 등. 더욱이 이러한 실수들은 간단히 살펴보거나 감시하면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틀린 목표를 세웠다면, 착오를 한 셈이다. 착오는 중대한 사건들이 될 수 있다. 틀린 목표를 세웠다면, 착오를 한 셈이다. 착오는 중대한 사건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착오를 찾아내기는 힘들고 경우에 따라서는 불가능하기도 하다. 왜냐하면 잘못된 것은 그 목표이자 수행하는 행동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수

    종종 우리는 한 번에 많은 일을 한다. … 대부분의 행동들이 자동으로 잠재의식적으로 처리되어 의식적인 주의가 거의 혹은 전혀 필요없다면, 우리는 한 번에 한 가지 이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는 것은 단 하나의 과제를 해내는 데에서도 필수적이다. …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은 음악의 상위수준, 연주양식 및 악구를 나는 것 등이어야 한다. 이것은 거의 모든 기술에도 적용되는 것이지만 하위수준의 신체적인 운동은 거의 의식하지 않고서도 통제되어야 한다.

    실수의 유형

    포착 오류

    두 개의 다른 행동계열이 있을 때, 그리고 그 둘이 첫 출발점이 유사하고, 그 중 하나는 덜 익숙하고 다른 것은 잘 연습된 것일 때, 자주 일어난다. 그렇다 하더라도 덜 익숙한 것이 익숙한 것을 포착하는 일은 거의 없다.

    묘사 오류

    틀린 대상과 맞는 대상이 물리적으로 서로 가까이 있을 때 자주 일어난다.

    자료주도적 오류

    옷에 묻은 벌레를 떨쳐내는 것과 같이 많은 인간의 행동은 자동적이다. 자동적인 행동은 주어진 자료에 의해서 일어나는데 감각자료가 들어오면 곧 시발된다. 그러나 때때로 자료주도적인 활동들이 현재 진행 중인 행동계열에 끼여들어 의도하지 않는 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

    연상 활성화 오류

    내적인 생각이나 현상이 행동을 일으키게 한다. … 어떤 생각들이나 아이디어에 대한 연상이 오류를 일으키기도 한다. 연상 활성화 요류는 프로이트가 연구한 실수들이다. 당신이 털어놓아서는 안 되는 어떤 생각이 머리에 떠올랐는데, 자기도 모르게 말하게 되어 당황한다.

    활성화 상실 오류

    흔한 실수들 중의 하나는 하려고 했던 것을 그냥 잊어버리는 것이다. 흥미있는 것은 행동의 일부분만을 잊고 나머지는 기억하는 것이다. 위의 예에서도 목적은 잊혀졌으나 그 외의 행동은 문제없이 계속되었다. 자신의 실수를 내게 알려준 또 다른 사람은 실내를 가로질러 부엌으로 가서 냉장고의 문을 열었으나, 자기가 왜 거기에 있는지를 몰랐다고 말했다. 이것이 활성화 상실 오류인데, 왜냐하면 목적의 ‘활성화’라고 생각되는 것이 소멸되었기 때문이다. 전문 용어는 아니지만 흔히 쓰는 용어는 ‘망각’일 것이다.

    양식 오류

    양식 오류는 여러 다른 양식의 조작을 할 수 있는 도구에서 한 양식에서 적절한 행동이 다른 양식에서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을 때 일어난다. 양식 오류는, 장치가 할 수 있는 일이나 스위치나 표시판보다 더 많을 때, 즉 한 스위치가 이중적인 일을 하도록 디자인되었을 때에는 피할 수 없다. 양식 오류는, 지금 장치가 어떤 양식에 있는지 알 수 없게 만들어져 사용자가 지금 어떤 양식이 설정되었는지를 때로는 수시간 동안이나 기억하고 있어야 할 때 특히 잘 일어난다.

    디자인과 인간심리, 도널드 노먼


    UX 디자인에서 오류와 실수는 사용자 경험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를 이해하고 예방하는 것은 효과적인 UX 디자인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오류와 실수의 특징을 살펴보고,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례를 통해 이해해 보겠습니다.

    오류와 실수의 정의

    오류는 모든 잘못된 행위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오류는 크게 실수와 착오로 분류됩니다[1].

    • 실수: 목적은 적절하나 수행이 잘못된 경우
    • 착오: 틀린 목표를 세운 경우

    실수는 대체로 작은 것들이며, 쉽게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착오는 중대한 사건이 될 수 있으며, 찾아내기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1].

    실수의 유형

    1. 포착 오류

    포착 오류는 자주 혹은 최근에 수행된 활동이 바라는 활동 대신에 수행되는 오류입니다[1].

    일상 사례: 평소에 자주 가던 회사 근처 카페에 가려다가 습관적으로 회사로 가버리는 경우

    2. 묘사-유사성 실수

    표적과 유사한 항목에 작용되는 오류입니다[1].

    일상 사례: 슈퍼마켓에서 비슷한 패키지의 다른 제품을 실수로 구매하는 경우

    3. 기억 과실 실수

    기억 실패에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1].

    일상 사례: 냉장고를 열어놓고 무엇을 꺼내려 했는지 잊어버리는 경우

    4. 모드 실수

    하나의 컨트롤러가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모드로 변환 가능할 때 일어납니다[1].

    일상 사례: 스마트폰의 음량 버튼이 상황에 따라 다른 기능을 할 때, 의도치 않은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5. 자료주도적 오류

    주어진 자료에 의해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행동이 현재 진행 중인 행동계열에 끼여들어 의도하지 않는 행동을 일으키는 경우입니다[5].

    일상 사례: 전화 통화 중 누군가 손을 흔들어 인사할 때, 무의식적으로 손을 흔들어 답하는 경우

    6. 연상 활성화 오류

    내적인 생각이나 현상이 의도치 않은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경우입니다[5].

    일상 사례: 중요한 회의 중 관련 없는 개인적인 생각이 떠올라 부적절한 발언을 하는 경우

    7. 활성화 상실 오류

    하려고 했던 것을 잊어버리는 것입니다[5].

    일상 사례: 물을 끓이려고 주전자에 물을 넣었다가 전원을 켜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

    UX 디자인에서의 오류와 실수 예방

    UX 디자이너는 이러한 오류와 실수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합니다.

    1. 사용자 연구 강화

    사용자의 행동 패턴과 니즈를 깊이 이해함으로써 잠재적인 오류와 실수를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4].

    2. 일관성 있는 디자인

    일관된 디자인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4].

    3. 직관적인 네비게이션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구조를 설계합니다[4].

    4. 명확한 피드백 제공

    사용자의 행동에 대해 즉각적이고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실수를 빠르게 인지하고 수정할 수 있게 합니다[3].

    5. 실수 방지 디자인

    중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확인 단계를 추가하거나, 실행 취소 기능을 제공하여 실수의 영향을 최소화합니다[3].

    6. 접근성 고려

    다양한 사용자 그룹의 니즈를 고려한 디자인으로 실수 가능성을 줄입니다[4].

    일상생활에서의 UX 디자인 사례

    1. 스마트폰 잠금 해제

    • 문제: 의도치 않은 잠금 해제로 인한 오작동
    • 해결: 슬라이드, 패턴, PIN, 생체 인식 등 다양한 잠금 해제 방식 제공

    2. 이메일 발송

    • 문제: 잘못된 수신자에게 이메일 발송
    • 해결: 발송 전 수신자 확인 단계 추가, 일정 시간 내 취소 기능 제공

    3. 온라인 쇼핑

    • 문제: 실수로 잘못된 상품 주문
    • 해결: 주문 확인 페이지 제공, 주문 취소 및 변경 기능 간소화

    4. 내비게이션 앱

    • 문제: 잘못된 목적지 설정
    • 해결: 음성 안내로 목적지 확인, 경로 중 목적지 변경 기능 제공

    5. 스마트 홈 기기

    • 문제: 의도치 않은 기기 작동
    • 해결: 음성 명령 확인 단계 추가, 앱을 통한 원격 제어 기능 제공

    결론

    UX 디자인에서 오류와 실수를 이해하고 예방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핵심 요소입니다. 다양한 유형의 실수를 인지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디자인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례들을 통해 UX 디자인의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으며, 이는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의 사용성과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UX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를 적용하여 더욱 직관적이고 오류에 강한 인터페이스를 개발해 나가야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참고자료
    [1] https://ibocon.tistory.com/49
    [2] https://metavision-blog.xyz/entry/UIUX-7%EC%82%AC%EC%9A%A9%EC%9E%90-%EC%98%A4%EB%A5%98-%EB%B0%A9%EC%A7%80-Mistake-%EC%9D%98%EC%8B%9D%EC%A0%81-%EC%8B%A4%EC%88%98
    [3] https://www.mobiinside.co.kr/2023/08/17/userexperience/
    [4] https://brunch.co.kr/@830bfa34e0894d6/135
    [5] https://blog.naver.com/thelight72/222800636682?viewType=pc

  • 가시성(Visibility)과 피드백(Feedback)

    가시성(Visibility)과 피드백(Feedback)

    가시성과 피드백

    1. 가시성

    관련된 부분들을 눈에 보이게, 즉 가시적이게 만들어라.

    2. 피드백

    어떤 행위의 결과를 즉각적이고 명확하게 알게 하라.

    비가시적인 것은 가시적이게 만들기

    좋은 표시판을 능가하는 것은 없다

    우리는 좋은 표시판을 가진 장치가 불필요한 복잡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여러 번에 걸쳐 보아왔다. 전화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에게 다음에 취해야 할 절차가 어떤 것인가를 표시해주는 판이 있었더라면 거의 쓸모없는 장치가 유용하고 값진 시스템이 되었을 것이다. 이 점은 세탁기, 전자레인지, 복사기에도 적용될 것이다. 시각적 피드백을 능가하는 것은 없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좋은 시각적 표시판이 요구된다.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콤팩트디스크에 노래 제목을 표시하기
    •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이름을 표시하기
    •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각 식품의 요리법을 표시하기

    가시성을 위해 소리를 사용하기

    디자인과 인간심리, 도널드 노먼


    UX 디자인에서 가시성과 피드백은 사용성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이 두 가지 원칙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면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더 쉽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가시성과 피드백의 개념, 적용 방법,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가시성(Visibility)의 개념과 중요성

    가시성은 사용자가 시스템의 상태와 가능한 행동들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도널드 노먼은 “관련된 부분들을 눈에 보이게, 즉 가시적이게 만들어라”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필요한 정보와 기능을 쉽게 찾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시성의 중요성:

    1. 사용자의 인지 부하 감소: 필요한 정보와 기능을 쉽게 찾을 수 있어 사용자의 mental effort를 줄여줍니다.
    2. 오류 감소: 명확한 시각적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학습 곡선 완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빠르게 시스템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4. 사용자 만족도 증가: 쉽고 효율적인 사용 경험은 전반적인 사용자 만족도를 높입니다.

    가시성 향상을 위한 UX 디자인 전략:

    1. 명확한 레이블링: 버튼, 메뉴, 링크 등에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레이블을 사용합니다.
    2. 시각적 계층 구조: 중요한 정보와 기능을 시각적으로 강조합니다.
    3. 아이콘 활용: 직관적인 아이콘을 사용하여 기능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게 합니다.
    4. 색상 코딩: 일관된 색상 체계를 사용하여 정보를 구분하고 강조합니다.
    5. 화면 레이아웃 최적화: 중요한 요소들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합니다.

    일상생활 속 가시성 사례:

    1. 교통 신호등: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의 명확한 시각적 신호로 운전자와 보행자의 행동을 안내합니다.
    2. 슈퍼마켓 레이아웃: 제품 카테고리별로 구분된 통로와 명확한 표지판으로 쇼핑객이 원하는 제품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합니다.
    3. 스마트폰 홈 화면: 자주 사용하는 앱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아이콘으로 기능을 직관적으로 표현합니다.
    4. 공공 화장실 표지판: 남녀 화장실을 구분하는 명확한 아이콘으로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합니다.

    피드백(Feedback)의 개념과 중요성

    피드백은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시스템의 반응을 말합니다. 도널드 노먼은 “어떤 행위의 결과를 즉각적이고 명확하게 알게 하라”고 강조했습니다. 적절한 피드백은 사용자가 자신의 행동이 의도한 대로 이루어졌는지, 또는 추가적인 행동이 필요한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피드백의 중요성:

    1. 사용자 확신 제공: 행동의 결과를 즉시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확신을 줍니다.
    2. 오류 인식과 수정: 잘못된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사용자가 빠르게 오류를 인식하고 수정할 수 있게 합니다.
    3. 학습 촉진: 지속적인 피드백은 사용자가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더 빠르게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사용자 경험 향상: 적절한 피드백은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더 자연스럽고 만족스럽게 만듭니다.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한 UX 디자인 전략:

    1. 즉각성: 사용자의 행동에 대해 가능한 한 빠르게 반응합니다.
    2. 명확성: 피드백의 의미가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워야 합니다.
    3. 일관성: 유사한 상황에서는 일관된 방식의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4. 다중 감각 활용: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5. 적절성: 상황과 사용자의 행동에 적합한 수준의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일상생활 속 피드백 사례:

    1. 스마트폰 키보드: 키를 누를 때마다 진동이나 소리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2. 엘리베이터 버튼: 버튼을 누르면 불이 들어오거나 소리가 나서 요청이 접수되었음을 알립니다.
    3. 온라인 쇼핑몰 장바구니: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으면 시각적 알림과 함께 장바구니 아이콘의 숫자가 변경됩니다.
    4. 자동차 내비게이션: 운전 중 음성 안내와 화면 표시로 다음 행동을 안내합니다.

    가시성과 피드백의 통합적 적용

    가시성과 피드백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 두 가지 원칙을 효과적으로 통합하면 더욱 강력한 사용자 경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통합 적용 전략:

    1. 상태 표시: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명확히 보여주고, 상태 변화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2. 진행 상황 표시: 작업의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각 단계 완료 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3. 오류 처리: 오류 발생 시 명확히 표시하고, 해결 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4. 사용자 입력 확인: 사용자의 입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입력 완료 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통합 적용 사례:

    1. 온라인 폼 작성:
    • 가시성: 필수 입력 필드를 명확히 표시합니다.
    • 피드백: 입력 오류 시 즉시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수정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1. 모바일 앱 업데이트:
    • 가시성: 업데이트 가능 여부를 앱 아이콘에 표시합니다.
    • 피드백: 업데이트 진행 상황을 퍼센티지로 표시하고, 완료 시 알림을 제공합니다.
    1. 스마트 홈 시스템:
    • 가시성: 각 기기의 현재 상태(온도, 전원 등)를 대시보드에 표시합니다.
    • 피드백: 설정 변경 시 즉각적인 시각적,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1. 디지털 카메라:
    • 가시성: 현재 설정(조리개, 셔터 속도 등)을 화면에 명확히 표시합니다.
    • 피드백: 사진 촬영 시 셔터 소리와 함께 화면에 잠깐 동안 촬영된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결론

    가시성과 피드백은 UX 디자인에서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핵심 원칙입니다. 이 두 가지 요소를 효과적으로 적용하면 사용자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더 쉽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가시성은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와 기능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하고, 피드백은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시스템의 반응을 명확히 전달합니다.

    일상생활 속 다양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가시성과 피드백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의 행동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UX 디자이너는 이러한 원칙들을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더 쉽고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가시성과 피드백을 고려한 디자인은 단순히 사용성을 높이는 것을 넘어, 사용자에게 자신감과 만족감을 줄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시스템의 상태를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을 받을 때, 그들은 더 큰 통제감을 느끼고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게 됩니다.

    앞으로의 UX 디자인에서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가시성과 피드백의 적용 방식도 계속 진화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증강현실(AR)이나 음성 인터페이스와 같은 새로운 상호작용 방식에서도 이러한 원칙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필요할 것입니다.

    결국, 가시성과 피드백을 통한 UX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 나은 경험을 하게 되고, 제품이나 서비스는 더 큰 성공을 거둘 수 있게 됩니다.


    참고 자료
    [1] https://www.nngroup.com/articles/visibility-system-status/
    [2] https://blog.uxtweak.com/importance-of-design-feedback-in-ux/
    [3] https://www.uxpin.com/studio/blog/user-feedback/
    [4] https://www.uxtweak.com/user-feedback/examples/
    [5] https://www.lyssna.com/blog/design-feedback/
    [6] https://uxplanet.org/how-the-principle-of-visibility-affects-your-ux-design-5f97d5c2d0c1?gi=fd9f64f3d5be

  • UX 디자인에서의 제약 활용: 사용성 향상을 위한 전략

    UX 디자인에서의 제약 활용: 사용성 향상을 위한 전략

    일상적 제약들의 분류

    물리적 제약

    물리적 제약이 가능한 조작들을 제한한다.
    물리적인 제약의 이점은 외계의 물리적 특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어떤 특별한 훈련이 필요 없다는 점이다. 물리적인 제약을 잘 이용하면 한정된 수의 가능한 행위만이 남게 되고, 또 해야 될 행위를 눈에 잘 띄게 만들 수 있다.
    물리적인 제약이 쉽게 보이고 납득될 수 있다면 더 효율적이고 이용하기 쉽다. 왜냐하면 행위를 하기 전에 이미 가능한 행위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 하면 물리적 제약은 해보고 나서야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는 그런 잘못된 행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바른 방향에 대한 명확한 단서가 있어야 한다.

    의미적 제약

    주어진 상황의 의미에 따라서 가능한 행위를 통제한다. 오토바이의 경우, 사람이 탈 수 있는 자리는 앞을 향해 앉는 위치만이 가능하다. 앞 유리창의 위치는 사람의 얼굴을 보호하는 것이기에 사람의 앞에 놓여야 한다. 의미적 제약은 우리들이 갖고 있는 상황과 외부 세계에 관한 우리의 지식에 의존한다. 이 지식이 강력한고 중요한 단서가 된다.

    문화적 제약

    어떤 제약들은 공유하는 문화적 관습에 의존하는데, 비록 이 관습이 한 도구의 의미적, 물리적 조작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지라도 그렇다.
    어느 문화에서나, 여러 사회적 상황에서 허용될 수 있는 행위의 종류가 결정되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처음 들어가 보는 식당에서도 어떻게 행동할지 안다. 바로 이런 이유로 주인이 우리를 낯선 사람들만이 있는 낯선 연회 장소에 남겨 놓고 나가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바로 이것이, 우리가 친숙하지 않은 문화권의 사람을 만나거나 그런 식당에 들어갔을 때, 종래에는 정상적으로 받아들여지던 행위가 부적절하게 되고 빈축을 사게 되어 좌절감을 느끼는 이유이다. 우리가 새로운 기계에 대해 갖는 많은 문제점들의 근저에는 이러한 문화적 문제가 있다. 즉, 이러한 기계를 다루는데 필요한 공유된 관습이나 습관이 아직 없기 때문에 어려움이 생기는 것이다.
    문화적 행위에 대한 지침이 우리의 마음속에 도식들로 표상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도식이란 지식의 구조로서, 상황을 해석하고 행동을 방향 지워주는 데 필요한 정보와 일반적 규칙들을 가리킨다. 통상적 상황에서는 도식이 아주 명세되어 있다.

    논리적 제약

    자연스러운 대응이 논리적 제약에 의해 작용하게 된다. 어떤 물리적 혹은 문화적 원칙이 있는 것이 아니고 구성성분들간의 공간적, 기능적 배치와 그 성분들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는가에 관한 논리적 관련성만이 있다…. 어떤 시스템의 다른 두 부분의 상태를 나타내 주는 두 계기판이 있다고 할 때, 그 계기들의 위치와 조작은 그 시스템의 공간적 기능적 배치와 자연스러운 관계를 가져야 한다. 유감스럽게도 자연스러운 대응이 잘 활용되고 있지 않다.

    디자인과 인간심리, 도널드 노먼


    UX 디자인에서 제약을 활용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전략입니다. 제약은 사용자의 행동을 안내하고, 오류를 줄이며, 전반적인 사용 경험을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만듭니다. 이 글에서는 UX 디자인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제약 유형과 그 적용 방법,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제약의 유형과 적용

    1. 물리적 제약

    물리적 제약은 사용자의 행동을 물리적으로 제한하여 올바른 사용을 유도합니다.

    적용 방법:

    • 형태와 크기를 통한 제한
    • 물리적 장벽 설치
    • 특정 동작만 가능하도록 설계

    일상 사례:

    • USB 포트: USB 커넥터는 한 방향으로만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아줍니다.
    • 자동차 시동 키: 대부분의 자동차 시동 키는 한 방향으로만 삽입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잘못 삽입하는 실수를 방지합니다.

    2. 의미적 제약

    의미적 제약은 상황의 의미와 사용자의 지식을 활용하여 적절한 행동을 유도합니다.

    적용 방법:

    • 상황에 맞는 아이콘 사용
    • 직관적인 레이아웃 구성
    • 사용자의 기존 지식을 활용한 디자인

    일상 사례:

    • 교통 신호등: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의 의미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며, 운전자들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합니다.
    • 쓰레기통 디자인: 재활용 쓰레기통의 투입구 모양은 해당 쓰레기의 형태와 유사하게 디자인되어 올바른 분리수거를 유도합니다.

    3. 문화적 제약

    문화적 제약은 특정 문화권에서 공유되는 관습과 규범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안내합니다.

    적용 방법:

    • 문화적 상징과 색상 활용
    • 지역별 사용 패턴 고려
    • 문화적 관습을 반영한 인터페이스 설계

    일상 사례:

    • 결제 시스템: 국가마다 선호하는 결제 방식이 다르므로, 해당 문화권에 맞는 결제 옵션을 제공합니다.
    • 날짜 표기 방식: 미국에서는 월/일/년 순으로, 유럽에서는 일/월/년 순으로 날짜를 표기하는 등 문화적 차이를 고려합니다.

    4. 논리적 제약

    논리적 제약은 시스템의 구성 요소 간의 관계와 기능적 배치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안내합니다.

    적용 방법:

    • 관련 기능들을 그룹화
    • 순차적 프로세스 설계
    • 논리적 흐름에 따른 인터페이스 구성

    일상 사례:

    • 전자레인지 컨트롤 패널: 시간 설정, 출력 설정, 시작 버튼 등이 논리적 순서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 스마트폰 설정 메뉴: 관련 설정들이 카테고리별로 그룹화되어 사용자가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UX 디자인에서의 제약 활용 전략

    1. 명확한 피드백 제공
      제약을 적용할 때는 사용자에게 왜 특정 행동이 제한되는지 명확히 설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폼에서 필수 입력 필드를 비워두면 즉각적인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2. 점진적 공개
      복잡한 기능이나 정보를 한 번에 모두 보여주는 대신,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점진적으로 공개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인지 부하를 줄이고 사용자가 단계별로 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돕습니다.
    3. 디폴트 옵션 제공
      사용자에게 너무 많은 선택권을 주는 대신, 가장 일반적이거나 권장되는 옵션을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이는 의사결정 과정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줄입니다.
    4. 에러 방지 디자인
      사용자가 실수를 하기 전에 미리 방지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중요한 데이터를 삭제하기 전에 확인 대화상자를 표시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5. 일관성 유지
      인터페이스 전반에 걸쳐 일관된 디자인 패턴과 상호작용 방식을 유지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새로운 기능을 쉽게 학습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일상생활에서의 제약 활용 사례

    1. ATM 기기
    • 물리적 제약: 카드 삽입구의 모양과 크기가 카드를 올바른 방향으로만 삽입할 수 있게 합니다.
    • 의미적 제약: 화면의 지시사항과 버튼의 배치가 사용자의 다음 행동을 안내합니다.
    • 논리적 제약: 현금 인출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따라갈 수 있게 합니다.
    1. 자동차 대시보드
    • 물리적 제약: 중요한 컨트롤(예: 비상등 버튼)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됩니다.
    • 의미적 제약: 속도계, 연료 게이지 등의 아이콘은 그 기능을 직관적으로 나타냅니다.
    • 문화적 제약: 국가별로 운전석의 위치가 다르므로, 대시보드 레이아웃도 그에 맞게 설계됩니다.
    1. 스마트폰 잠금 화면
    • 물리적 제약: 터치스크린의 특성을 활용하여 스와이프나 패턴 입력 등 특정 동작만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합니다.
    • 의미적 제약: 잠금 해제를 위한 아이콘이나 지시문이 사용자에게 다음 행동을 안내합니다.
    • 논리적 제약: 비밀번호 입력 시 숫자 키패드가 논리적 순서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1. 공공 화장실 설비
    • 물리적 제약: 화장실 문의 잠금장치는 안에서만 잠글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의미적 제약: ‘사용 중’ 표시등은 빨간색을 사용하여 직관적으로 상태를 나타냅니다.
    • 문화적 제약: 국가별로 다른 화장실 사용 문화(예: 일본의 비데 기능)를 반영한 설계가 이루어집니다.
    1. 전자제품 리모컨
    • 물리적 제약: 배터리 삽입구는 배터리의 방향을 명확히 표시하여 잘못된 삽입을 방지합니다.
    • 의미적 제약: 볼륨 조절 버튼의 ‘+’, ‘-‘ 기호는 그 기능을 직관적으로 나타냅니다.
    • 논리적 제약: 자주 사용하는 기능(예: 전원, 채널 변경)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됩니다.

    결론

    UX 디자인에서 제약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강력한 전략입니다. 물리적, 의미적, 문화적, 논리적 제약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제약을 설계할 때는 사용자의 니즈와 행동 패턴을 깊이 이해하고, 제품이나 서비스의 목적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제약이 사용자를 불필요하게 제한하거나 좌절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적절한 제약은 사용자를 안내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해야 합니다.

    일상생활의 다양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잘 설계된 제약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의 행동을 안내하고 실수를 방지합니다. UX 디자이너는 이러한 일상의 경험들을 면밀히 관찰하고 분석하여,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결국, 제약을 통한 UX 디자인은 사용자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를 더 쉽고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 만족스러운 경험을 하게 되고,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게 됩니다.


    참고자료
    [1] https://velog.io/@deli-ght/%EB%94%94%EC%9E%90%EC%9D%B8%EA%B3%BC-%EC%9D%B8%EA%B0%84%EC%8B%AC%EB%A6%AC-4.-%ED%95%A0-%EC%9D%BC-%EC%95%8C%EA%B8%B0-%EC%A0%9C%EC%95%BD-%EB%B0%9C%EA%B2%AC-%EA%B0%80%EB%8A%A5%EC%84%B1-%ED%94%BC%EB%93%9C%EB%B0%B1
    [2] https://velog.io/@chaeki/%EB%8F%84%EB%84%90%EB%93%9C-%EB%85%B8%EB%A8%BC-%EB%94%94%EC%9E%90%EC%9D%B8%EA%B3%BC-%EC%9D%B8%EA%B0%84%EC%8B%AC%EB%A6%AC-23
    [3] https://ykwan0714.github.io/ux-ui%EC%9D%98-10%EA%B0%80%EC%A7%80-%EC%8B%AC%EB%A6%AC%ED%95%99-%EB%B2%95%EC%B9%99/
    [4] https://brunch.co.kr/@5bc6db73b7f34a6/3
    [5] https://live.lge.co.kr/2302-signature-ux/
    [6] https://velog.io/@chaeki/UXUI%EC%9D%98-10%EA%B0%80%EC%A7%80-%EC%8B%AC%EB%A6%AC%ED%95%99-%EB%B2%95%EC%B9%99-22
    [7] https://brunch.co.kr/@blackindigo-red/15

  •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기억의 특징과 일상생활 사례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기억의 특징과 일상생활 사례

    기억은 또한 세상 속에 있다.

    세상 속의 지식, 즉 외적 지식은 매우 가치가 있다. 그러나 그것에도 약점이 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외적 지식이 있는 적절한 상황에 있을 때에만 그 지식을 쓸 수 있다. 다른 곳에 있다면, 혹은 세상이 그 동안 변했다면, 지식은 이미 사라져 버리고 만다. 외적 정보에 의해 주어지는 핵심적인 기억의 보조가 없게 되고, 그래서 할 일이나 어떤 사항은 기억되지 않을 수 있다. 속담에 이 사실이 잘 표현되어 있다. “보이지 않으면, 잊힌다.”

    비망

    외적 기억의 역할에서 가장 중요하고 흥미 있는 측면 중의 하나는 비망(reminding)인데, 머릿속의 지식과 세상 속의 지식 간의 상호작용을 보이는 좋은 예이다.
    그 일이 충분히 중요한 것이라면, 그것이 마음속에서 되풀이되어 떠오를 것이다-이를 심리학자들은 시연(rehearsal)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토요일 언제 떠날지를 기억하는 데 전혀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분명히 말할 수 있다. 그 사건이 개인적으로 아주 중요할 때에는 그 정보를 머릿속에 넣어둘 수 있다.
    기억해야 할 일이 개인적으로 별로 중요하지 않고 또 며칠 뒤의 일이며, 당신이 매우 바쁘게 생활한다고 생각해보자. 이제 당신은 기억 부담의 일부를 외부 세계에 옮겨 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즉, 메모를 하거나 수첩 혹은 탁상 달력 또는 일기장 같은 곳에 요일과 시간을 적어 두거나 일시를 맞추어 둘 수 있는 경보 시계를 사용하는 것 등이다.
    훌륭한 비망 방법 중의 하나는 사물 그 자체에 부담을 지우는 것이다.

    자연스러운 대응

    때때로 오븐에 어느 스위치가 어느 버너를 작동시키는지를 표시하는 작은 도표가 부착된 것도 있었다. 때로는 짧은 이름표가 붙기도 했다. 그러나 자연스러운 대응을 잘만 만들면 아무런 도표도 이름표도 설명서도 필요하지 않다. 여기에 단순한 디자인의 원칙이 숨어 있다.
    사용 용이성(usability)은 구매과정에서 그렇게 자주 고려되는 기준은 아니다. 게다가 실제 상황에서 흔히 하는 일을 가지고 여러 개를 비교해서 시험해보지 않으면 사용하기 쉬우냐 어려우냐를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다. 어떤 것을 볼 때, 그것은 그대로 쓸 만하다고 느끼고 여러 놀라운 기능들은 매우 훌륭한 점으로 여긴다. 그러나 당신은 그런 기능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알아내지 못할 수도 있음을 깨닫지 못한다. 나는 여러분이 어떤 물건을 사기 전에 그것을 시험해보기를 간곡히 권한다. 음식을 요리하는 시늉을 해보고, 비디오 세트의 채널을 맞춰보고 혹은 녹화 예약을 실제로 해보는 것이다. 가게에서 바로 해보라. 착오를 일으키거나 어리석은 질문을 하는 것을 걱정 말아라. 당신이 겪는 어떤 문제도 당신의 잘못이 아니라 아마 디자인의 잘못이란 것을 기억하라.
    중요한 문제는 종종 구입자가 사용자가 아니라는 점이다. 가정용품들은 이사할 때에 집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사무실에서는, 구매부에서 가격이나 공급자와의 관계 또는 신뢰성 등의 요인에 근거해서 설비를 주문한다. 이때 사용 용이성은 거의 고려되지 않는다. 혹은 구매자 자신이 최종 사용자인 경우에도, 때로는 하나의 바람직한 기능을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기능과 교환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내 집의 오븐의 경우에는, 스위치의 배치는 마음에 들지 않았으나, 그것을 구입하고 말았다. 우리는 버너 스위치의 배열을 우리에게 더 중요한 다른 특징들과 바꾸었는데(trade off), 그것은 한 회사의 제품에서만 있는 것이었다.

    세상 속의 지식과 머릿속의 지식간의 교환 관계

    세상 속의 지식(혹은 정보)과 머릿속의 지식은 모두가 일상적인 활동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어느 쪽을 더욱더 중시하느냐를 어느 정도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택에는 어떤 교환관계가 따르는데, 즉 세상 속의 지식의 이점을 얻는다는 것은 머리 속의 지식의 이점을 잃는다는 것을 뜻한다.

    디자인과 인간심리, 도널드 노먼


    UX 디자인에서 기억은 사용자 경험을 형성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디자이너들은 사용자의 기억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만들어냅니다. 이 글에서는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기억의 주요 특징과 그에 따른 디자인 전략,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단기기억과 장기기억

    인간의 기억은 크게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UX 디자인에서는 이 두 가지 기억 유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합니다.

    단기기억의 특징과 UX 전략

    1. 용량 제한: 단기기억은 평균적으로 7(±2)개의 항목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1].
    2. 짧은 지속 시간: 단기기억은 약 20-30초 동안만 유지됩니다.

    UX 디자인 전략:

    • 중요한 정보를 그룹화하여 제시
    • 복잡한 작업을 단계별로 나누어 제시

    일상생활 사례:

    • 스마트폰 홈 화면의 앱 아이콘 배치: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주 사용하는 앱을 첫 페이지에 배치합니다. 이는 단기기억의 용량 제한을 고려한 자연스러운 행동입니다.

    장기기억의 특징과 UX 전략

    1. 대용량 저장: 장기기억은 거의 무한한 용량을 가집니다.
    2. 의미 있는 연결: 정보 간의 의미 있는 연결을 통해 더 잘 저장되고 회상됩니다.

    UX 디자인 전략:

    • 일관된 디자인 패턴 사용
    • 메타포와 아이콘을 활용한 직관적 이해 촉진

    일상생활 사례:

    • 교통 신호등: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의 의미는 전 세계적으로 일관되게 사용되어 장기기억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기억의 유형과 UX 디자인 전략

    1. 임의적인 것의 기억

    이는 의미나 관계성 없이 단순히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말합니다. UX 디자인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기억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UX 디자인 전략:

    • 복잡한 비밀번호 대신 생체인식 활용
    • 자동 저장 기능 구현

    일상생활 사례:

    • ATM 기기의 PIN 번호: 많은 사람들이 PIN 번호를 잊어버리는 경험을 합니다. 이는 임의적인 숫자 조합이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2. 의미 있는 관계성의 기억

    이는 새로운 정보를 기존 지식과 연결하여 기억하는 방식입니다.

    UX 디자인 전략:

    • 카테고리화와 그룹핑을 통한 정보 구조화
    • 시각적 계층 구조 활용

    일상생활 사례:

    • 슈퍼마켓 레이아웃: 대부분의 슈퍼마켓은 비슷한 제품군을 같은 구역에 배치합니다. 이는 고객이 제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의미 있는 관계성을 활용한 것입니다.

    3. 설명을 통한 기억

    이는 정보를 이해하고 해석함으로써 기억하는 방식입니다.

    UX 디자인 전략:

    • 툴팁이나 설명 텍스트 제공
    • 온보딩 프로세스를 통한 제품 사용법 설명

    일상생활 사례:

    • 요리 레시피: 요리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레시피는 설명을 통한 기억의 좋은 예입니다. 사용자는 각 단계를 이해하고 실행함으로써 요리 방법을 기억합니다.

    기억을 고려한 UX 디자인 원칙

    1. 인지 부하 최소화

    사용자의 기억 용량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정보를 적절히 제한하고 구조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UX 디자인 전략:

    • 복잡한 정보를 단계별로 제시
    • 시각적 계층 구조를 통한 정보 우선순위 표시

    일상생활 사례:

    • 내비게이션 앱: 복잡한 경로를 한 번에 모두 보여주는 대신, 다음 행동을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2. 일관성 유지

    일관된 디자인 패턴은 사용자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장기기억 형성을 돕습니다.

    UX 디자인 전략:

    • 동일한 기능에 대해 일관된 아이콘 사용
    • 웹사이트 전체에 걸쳐 일관된 네비게이션 구조 유지

    일상생활 사례:

    • 자동차 대시보드: 대부분의 자동차에서 속도계, 연료 게이지 등의 위치가 유사하게 배치되어 있어 운전자가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3. 시각적 계층 구조

    중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강조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끌고 기억을 촉진합니다.

    UX 디자인 전략:

    • 색상, 크기, 위치 등을 활용한 중요 정보 강조
    • 화면 상단에 핵심 정보 배치

    일상생활 사례:

    • 신문 레이아웃: 중요한 기사는 큰 제목과 함께 첫 페이지에 배치됩니다.

    4. 피드백 제공

    사용자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은 행동과 결과의 연관성을 강화하여 기억을 돕습니다.

    UX 디자인 전략:

    • 버튼 클릭 시 시각적/청각적 피드백 제공
    • 작업 완료 시 확인 메시지 표시

    일상생활 사례:

    • 전자레인지: 조리 완료 시 소리나 불빛으로 알려줍니다.

    5. 개인화

    사용자의 과거 행동을 기반으로 인터페이스를 개인화하여 사용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UX 디자인 전략:

    •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기반으로 한 추천 시스템
    •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한 빠른 접근 제공

    일상생활 사례:

    • 스트리밍 서비스의 추천 알고리즘: 넷플릭스와 같은 서비스는 사용자의 시청 기록을 바탕으로 개인화된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기억의 특성을 활용한 UX 디자인 기법

    1. 청킹(Chunking)

    정보를 의미 있는 그룹으로 나누어 제시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단기기억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3].

    UX 디자인 전략:

    • 긴 텍스트를 짧은 단락으로 나누기
    • 관련 정보를 시각적으로 그룹화하기

    일상생활 사례:

    • 전화번호 형식: 010-1234-5678과 같이 숫자를 그룹으로 나누어 표기하면 기억하기 쉽습니다.

    2. 프라이밍(Priming)

    이전 경험이 현재의 인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활용하는 기법입니다.

    UX 디자인 전략:

    • 관련 정보를 미리 노출시켜 사용자의 다음 행동 유도
    • 익숙한 아이콘이나 메타포 사용

    일상생활 사례:

    • 식당 메뉴판: 추천 메뉴를 먼저 보여주어 고객의 선택에 영향을 미칩니다.

    3. 시리얼 포지션 효과

    정보의 순서에 따라 기억력이 달라지는 현상을 고려한 기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처음과 마지막에 제시된 정보를 더 잘 기억합니다.

    UX 디자인 전략:

    • 중요한 정보를 리스트의 처음이나 마지막에 배치
    • 온보딩 과정에서 핵심 기능을 처음과 마지막에 소개

    일상생활 사례:

    • 연설: 연설자들은 주요 메시지를 도입부와 결론에 배치하여 청중의 기억에 남도록 합니다.

    결론

    UX 디자인에서 인간의 기억 특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요소입니다.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특성, 다양한 기억 유형, 그리고 기억을 고려한 디자인 원칙들을 적절히 적용함으로써, 디자이너는 사용자가 더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사례들은 이러한 기억의 특성이 우리 주변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스마트폰 앱 배치부터 교통 신호등, 슈퍼마켓 레이아웃, 요리 레시피, 자동차 대시보드 등 우리 주변의 많은 것들이 인간의 기억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있습니다.

    UX 디자이너는 이러한 기억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줄이고, 정보를 효과적으로 구조화하며, 일관성 있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더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제품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UX 디자인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복잡해질 것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기본적인 인지 과정과 기억 특성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적인 원칙들을 잘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앞으로도 중요할 것입니다. 동시에, 새로운 기술과 플랫폼에 맞춰 이러한 원칙들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이 필요할 것입니다.


    참고자료:
    [1] https://fireart.studio/blog/human-memory-and-ux-design-how-to-prevent-user-cognitive-overload/
    [2] https://www.linkedin.com/pulse/memory-matters-5-ways-we-can-use-knowledge-improve-ux-jenna-varan
    [3] https://velog.io/@chaeki/UXUI%EC%9D%98-10%EA%B0%80%EC%A7%80-%EC%8B%AC%EB%A6%AC%ED%95%99-%EB%B2%95%EC%B9%99-22
    [4] https://blog.wishket.com/%EC%82%AC%EC%9A%A9%EC%9E%90-%EA%B8%B0%EC%96%B5-%EB%94%94%EC%9E%90%EC%9D%B8/
    [5] https://www.nngroup.com/articles/spatial-memory/
    [6] https://www.avocadoz.net/blog/method-of-loci
    [7] https://asana.com/ko/resources/memorization-techniques
    [8] https://brunch.co.kr/@blackindigo-red/15
    [9] https://uxdesign.cc/designing-with-memory-in-mind-f109c15f12ff?gi=fa0a9a9bac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