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은 어찌하여 주유를 낳고, 또 제갈량을 낳았는가!(旣生瑜, 何生亮)”
<삼국지연의> 속 주유가 죽어가며 내뱉는 이 처절한 외침은, 그의 인생 전체를 ‘제갈량이라는 천재에게 가려진 비운의 2인자’로 정의해버립니다. 적벽대전이라는 거대한 승리를 이끌었음에도 불구하고, 소설 속 그는 끊임없이 제갈량을 시기하고 질투하다 결국 화병으로 죽는 ‘속 좁은 인물’로 그려집니다.
하지만 이 유명한 대사가 사실은 소설가 나관중이 만들어낸 완벽한 창작이라면 어떨까요? 역사 기록 속 주유는 소설의 이미지와는 180도 다른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당대 최고의 지략과 대담함, 그리고 심지어 너그러운 인품까지 갖춘 완성형 리더였습니다. 이 글은 소설이 덧씌운 억울한 누명을 벗겨내고, 적벽대전의 진정한 영웅이었던 대도독 주유의 진짜 모습을 재평가하고자 합니다.
정사 속 주유: 도량이 넓었던 완성형 리더
대인배의 품격, 모두를 아우르다
정사 <삼국지> ‘주유전’에 기록된 그의 인품은 소설과 정반대입니다. 사서는 그를 “성품이 활달하고 도량이 넓어(性度恢廓)” 많은 사람의 존경을 받았다고 기록합니다. 그의 너그러운 성품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일화가 바로 오나라의 노장 정보(程普)와의 관계입니다. 손견 시절부터 전장을 누볐던 정보는 손책과 동년배인 젊은 주유가 자신보다 높은 대도독의 자리에 오르자 그를 노골적으로 무시하고 불만을 품었습니다.
하지만 주유는 이에 맞서지 않고, 오히려 끝까지 겸손한 태도로 정보를 존중하고 예우했습니다. 결국 그의 인품에 감복한 정보는 훗날 사람들에게 “주공근(주유)과의 사귐은 마치 향기로운 맛있는 술과 같아서, 스스로 취함을 느끼지 못한다”라고 말하며 그를 진심으로 따르게 되었습니다. 이는 그가 아랫사람뿐만 아니라, 자신을 탐탁지 않게 여기는 손윗사람까지도 포용할 줄 아는 진정한 리더였음을 보여줍니다.
적벽대전의 총설계자
소설은 적벽대전의 승리를 마치 제갈량의 신묘한 계책, 특히 ‘동남풍을 빌려온 사건’ 덕분인 것처럼 묘사합니다. 하지만 실제 역사에서 적벽대전의 승리는 온전히 주유의 작품이었습니다. 그는 조조의 100만 대군(실제로는 약 20만) 앞에서 항복을 외치던 오나라의 신하들 앞에서, 홀로 결사항전을 주장하며 손권을 설득했습니다. 그는 조조군이 가진 약점들, 즉 ▲북방군은 수전에 약하고 ▲먼 원정으로 지쳐 있으며 ▲풍토병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을 정확히 간파하여 승산이 있음을 역설했습니다.
전투의 총지휘관 역시 주유였습니다. 제갈량의 역할은 손권과 유비의 동맹을 성사시키는 ‘외교관’에 가까웠을 뿐, 전투 자체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았습니다. 부장 황개의 고육지계(거짓 항복)를 채택하고, 화공을 통해 조조의 대선단을 불태워버린 이 모든 작전은 총사령관 주유의 머리에서 나온 것입니다. 적벽대전은 제갈량의 신기(神技)가 아닌, 주유의 냉철한 분석과 과감한 결단이 만들어낸 위대한 승리였습니다.
소설은 왜 주유를 폄하했나?
주인공을 빛내기 위한 희생양
그렇다면 소설가 나관중은 왜 이 위대한 영웅을 속 좁은 질투의 화신으로 만들어야만 했을까요? 그 이유는 <삼국지연의>가 철저히 유비를 주인공으로 하는 ‘촉한정통론’에 기반한 소설이기 때문입니다. 소설의 서사 구조상, 주인공인 유비 진영의 핵심 책사, 제갈량은 인간을 넘어선 신적인 존재로 그려져야만 했습니다.
제갈량의 비범함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은, 그와 대적하는 상대방 진영의 뛰어난 인물을 그의 지략 아래 무릎 꿇리는 것입니다. 주유는 이 역할에 가장 안성맞춤인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너무나도 유능했기에, 그런 주유를 손바닥 위에서 가지고 노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제갈량의 천재성을 극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었던 것입니다. 결국 주유는 제갈량이라는 절대 주인공을 빛내기 위해 모든 공을 빼앗기고 성격까지 왜곡당한, 소설적 장치의 가장 큰 희생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라이벌 구도를 통한 극적 재미
또 다른 이유는 이야기의 재미를 극대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역사적 사실만으로는 밋밋할 수 있는 이야기에 ‘천재와 천재의 대결’이라는 라이벌 구도를 삽입함으로써, 독자들의 흥미와 긴장감을 최고조로 끌어올릴 수 있었습니다. 동남풍을 비는 제단을 놓고 벌이는 두 사람의 심리전, 세 번 약 올리고 세 번 피를 토하게 만드는(삼기주유, 三氣周瑜) 등의 일화는 모두 역사에 없는 허구지만, 소설 <삼국지연의>를 최고의 인기 소설로 만든 일등 공신들입니다.
결국 우리가 기억하는 주유의 모습은 실제 역사 속 인물이 아닌, 소설의 재미와 주제 의식을 위해 완벽하게 재창조된 캐릭터입니다. 하지만 그 허구의 이미지가 너무나도 강렬했기에, 지난 수백 년간 적벽대전의 진정한 영웅은 자신의 명예를 도둑맞은 채 사람들의 기억 속에 갇혀있어야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