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트랜잭션

  • 데이터에 생명을 불어넣다: 데이터 조작어(DML)의 4가지 핵심 기술

    데이터에 생명을 불어넣다: 데이터 조작어(DML)의 4가지 핵심 기술

    데이터베이스의 뼈대를 세우는 언어가 데이터 정의어(DDL)였다면, 그 뼈대 안에 실질적인 내용을 채우고, 수정하며, 조회하는 언어는 바로 ‘데이터 조작어(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입니다. DML은 이미 만들어진 테이블이라는 그릇 안에서 실제 데이터(레코드)를 가지고 상호작용하는 모든 행위를 담당합니다. 이는 마치 건축가가 설계한(DDL) 건물에 이삿짐센터 직원들이 가구를 들여놓고(INSERT), 가구의 배치를 바꾸거나(UPDATE), 특정 가구를 꺼내 보며(SELECT), 더 이상 쓰지 않는 가구를 밖으로 빼내는(DELETE) 활동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DML은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심장과도 같습니다.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하고, 게시글을 작성하며, 상품을 검색하고, 장바구니의 물건을 삭제하는 모든 행위는 내부적으로 DML 구문으로 변환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전달됩니다. 따라서 개발자에게 DML은 매일같이 사용하는 가장 친숙하고 중요한 도구이며, DML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작성하느냐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됩니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 조작의 네 가지 핵심 활동인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에 해당하는 INSERT, SELECT, UPDATE, DELETE 명령어의 기능과 사용법, 그리고 DML 사용 시 반드시 이해해야 할 트랜잭션의 개념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 조작의 4대 천왕: INSERT, SELECT, UPDATE, DELETE

    DML의 핵심 기능은 데이터의 생성(Create), 조회(Read), 수정(Update), 삭제(Delete)로 요약되며, 이는 각각 INSERT, SELECT, UPDATE, DELETE라는 네 개의 SQL 명령어에 대응됩니다. 이 네 가지 명령어만으로 데이터에 대한 거의 모든 조작이 가능합니다.

    INSERT: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다

    INSERT 명령어는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 행(Row)을 추가할 때 사용합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거나, 새로운 상품이 쇼핑몰에 등록될 때 내부적으로 INSERT 구문이 실행됩니다. INSERT 문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테이블의 모든 열에 순서대로 값을 넣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특정 열을 지정하여 값을 넣는 방식입니다.

    — 모든 열에 값을 삽입하는 경우 INSERT INTO STUDENTS VALUES (2025001, ‘홍길동’, ‘컴퓨터공학’, ‘gildong@example.com’);

    — 특정 열을 지정하여 값을 삽입하는 경우 INSERT INTO STUDENTS (student_id, student_name, email) VALUES (2025002, ‘이순신’, ‘sunshin@example.com’);

    두 번째 방식처럼 열을 명시적으로 지정하면, 값을 넣지 않은 major 열에는 테이블 생성 시 정의된 기본값(Default)이 들어가거나 NULL 값이 허용된 경우 NULL이 삽입됩니다. 이처럼 열을 지정하는 방식은 테이블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코드의 수정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어 더 선호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SELECT: 숨겨진 정보를 발견하다

    SELECT 명령어는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하고 검색할 때 사용하는, DML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며 가장 강력하고 복잡한 명령어입니다. 단순히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부터 시작하여, 복잡한 조건을 걸어 필터링하고, 여러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합하며,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통계를 내는 등 무궁무진한 활용이 가능합니다.

    — STUDENTS 테이블의 모든 학생 정보 조회 SELECT * FROM STUDENTS;

    — 컴퓨터공학 전공 학생들의 이름과 이메일만 조회 SELECT student_name, email FROM STUDENTS WHERE major = ‘컴퓨터공학’;

    — 학번 순으로 학생들을 정렬하여 조회 SELECT * FROM STUDENTS ORDER BY student_id DESC;

    SELECT 문은 WHERE(조건 필터링), GROUP BY(그룹화), HAVING(그룹 조건), ORDER BY(정렬) 등 다양한 절(Clause)과 함께 사용되어 원하는 데이터를 정밀하게 추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JOIN 연산을 통해 여러 테이블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관계를 기반으로 하나로 합쳐서 조회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효율적인 SELECT 쿼리를 작성하는 능력은 백엔드 개발자의 핵심 역량 중 하나입니다.

    UPDATE: 기존 데이터를 최신화하다

    UPDATE 명령어는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 행의 열 값을 수정할 때 사용합니다. 회원이 자신의 비밀번호나 주소를 변경하거나, 상품의 가격이나 재고 수량이 변경될 때 UPDATE 구문이 실행됩니다. UPDATE 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SET 절과 WHERE 절입니다. SET 절에는 어떤 열의 값을 무엇으로 변경할지 명시하고, WHERE 절에는 변경 대상이 될 행을 특정하는 조건을 명시합니다.

    — 학번이 2025001인 학생의 전공을 ‘인공지능’으로 변경 UPDATE STUDENTS SET major = ‘인공지능’ WHERE student_id = 2025001;

    만약 WHERE 절을 생략하고 UPDATE STUDENTS SET major = ‘인공지능’; 이라고 실행하면, STUDENTS 테이블의 모든 학생의 전공이 ‘인공지능’으로 변경되는 끔찍한 재앙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UPDATE 문을 사용할 때는 내가 수정하려는 데이터가 정확히 무엇인지 WHERE 절을 통해 명확하게 지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DELETE: 더 이상 필요 없는 데이터를 삭제하다

    DELETE 명령어는 테이블에서 특정 데이터 행을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회원이 탈퇴하거나, 게시판에서 게시글을 삭제할 때 DELETE 구문이 실행됩니다. DELETE 문 역시 UPDATE 문과 마찬가지로, 삭제할 대상을 특정하는 WHERE 절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 학번이 2025002인 학생의 정보를 삭제 DELETE FROM STUDENTS WHERE student_id = 2025002;

    UPDATE와 마찬가지로, WHERE 절 없이 DELETE FROM STUDENTS;를 실행하면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비록 DDL인 TRUNCATE와는 달리 ROLLBACK을 통해 되돌릴 수는 있지만, 의도치 않은 대량의 데이터 삭제는 서비스에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항상 WHERE 절을 통해 조건을 명시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DML과 트랜잭션: 안정성을 보장하는 약속

    DDL 명령어가 실행 즉시 데이터베이스에 영구적으로 반영되는 ‘자동 커밋(Auto-Commit)’ 방식인 것과 달리, DML 명령어는 ‘트랜잭션(Transaction)’이라는 논리적인 작업 단위 안에서 동작하며, 개발자가 직접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영구적으로 반영할지(COMMIT) 아니면 취소할지(ROLLBACK)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트랜잭션이란 무엇인가?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DML 작업 묶음입니다. 트랜잭션은 ‘전부 성공하거나, 전부 실패해야 한다(All or Nothing)’는 원자성(Atomicity)을 보장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가장 고전적인 예시는 ‘계좌 이체’입니다. A의 계좌에서 10만 원을 인출하는 작업(UPDATE)과 B의 계좌에 10만 원을 입금하는 작업(UPDATE)은 반드시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여야 합니다. 만약 A의 돈만 인출되고 시스템 오류로 B에게 입금이 되지 않는다면 데이터의 일관성이 깨져버리기 때문입니다.

    COMMIT과 ROLLBACK: 확정과 되돌리기

    개발자는 하나 이상의 DML 구문을 실행한 뒤, 모든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COMMIT 명령어를 통해 변경 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영구적으로 저장합니다. COMMIT이 실행된 이후에는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없습니다.

    반면, 작업 도중 오류가 발생했거나 논리적으로 문제가 있어 작업을 취소하고 싶을 때는 ROLLBACK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ROLLBACK을 실행하면 해당 트랜잭션 안에서 수행되었던 모든 DML 작업들이 트랜잭션 시작 이전의 원래 상태로 되돌아갑니다. 이처럼 DML은 트랜잭션 제어 언어(TCL)인 COMMIT과 ROLLBACK을 통해 데이터 조작의 안정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는 강력한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이는 실수로 데이터를 잘못 수정하거나 삭제했을 때 복구할 수 있는 중요한 안전장치가 되어 줍니다.

    결론: 데이터와 소통하는 핵심 언어

    데이터 조작어(DML)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안에서 실제 데이터와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가장 실용적이고 핵심적인 언어입니다. SELECT, INSERT, UPDATE, DELETE라는 네 가지 명령어를 통해 우리는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읽고, 수정하고, 삭제하며 데이터에 생명력을 불어넣습니다. DDL이 데이터베이스의 정적인 청사진을 그리는 건축가의 언어라면, DML은 그 공간 안에서 역동적으로 활동하는 생활자의 언어인 셈입니다.

    효과적인 DML 사용 능력은 단순히 SQL 문법을 아는 것을 넘어섭니다. 원하는 데이터를 가장 효율적으로 조회하기 위해 SELECT 쿼리를 최적화하고, 데이터의 변경과 삭제가 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UPDATE와 DELETE 구문을 신중하게 사용하며, 트랜잭션의 개념을 이해하여 데이터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까지 포함합니다. 결국, DML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능숙하게 다루는 능력이야말로 데이터를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개발자와 데이터 전문가의 가장 중요한 기본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